5대결사 중 평화결사는 종교평화를 통한 우리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그러나 종단이 추진하는 평화결사의 주요 내용이 이를 담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조계종 자승 총무원장이 밝힌 평화결사는 ▷종교간 대화 및 교류활동 ▷종교차별 예방 및 대응활동 ▷남과 북, 평화정착을 위한 활동(지원 및 교류활동) ▷사회문제 불교적 대안창출 활동이 주요 내용으로 제시돼 있다.
그러나 이 내용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거론되거나 불교가 이 시대의 종교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나열한 수준에 그치지 않는다. 더구나 이웃종교와의 갈등이 깊어지고 불교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가 낮은 상황에서 눈에 보이는 ‘사업’만으로 평화결사 완성은 요원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박광서 종교자유정책연구원 공동대표는 “그 동안 종단은 종교평화와 관련해서 재가불자들보다 무관심한 모습을 보여 왔다. 깊은 고민을 통한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또 “평화결사에는 국민들의 고민과 갈등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통한 내용이 반영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국민들의 ‘삶’에 관심을 갖고 불교적 평화관을 제시해야 한다는 의미다.
김영국 연경사회문화정책연구네트워크 운영위원은 ‘힘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이웃종교와 대등한 위상과 신뢰를 갖춰야 평화를 말할 수 있다. 종교의 위상은 국민의 신뢰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평화 결사를 위한 자기 성찰과 반성이 토대가 돼야하며 이를 통한 도덕적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런 노력과 실천이 불교의 쇄신 노력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로 이어질 때 진정한 ‘평화결사’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종단은 현재 100일 결사 후 평화결사를 포함한 5대 결사의 세부내용을 밝히겠다는 입장이다. 평화결사를 위한 실천방안으로는 가
정, 사찰, 교구본사별 실천 방안이 논의 중이다.
가정에서의 평화결사에서는 부부간 존중과 부모와 자녀 사이의 대화를 강조하고 있다. 사찰에서의 평화결사는 평화에 어울리는 사찰환경 조성과 어린이를 위한 평화학교 등이 거론되고 있다. 교구본사에서의 평화결사로는 종교연대 활동을 위한 평화위원회 조직, 교구본사 문화행사에 이웃종교인 초청, 지역사회 갈등 해소를 위해 이웃종교와 완대 등이 검토 중이다.
조계종 사회부 공승관 팀장은 “실천 방안 등을 검토 중이며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해서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할 것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