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개신교, 원불교 등 종교계가 주도하고 정부, 여야, NGO가 참여하는 4대강논의위원회가 두 차례 회의를 열고 12월 10일까지 4대강과 관련한 합의를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4대강사업 국민적 논의위원회’(이하 4대강논의위원회)는 11월 30일과 12월 2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종교계에서 △조계종 도법 스님(화쟁위원회 위원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이훈삼 목사(정의평화국장) △원불교 정선호 교무(문화사회부 차장)가 참석했다. 추진 및 반대 양측에서 △한나라당 원희룡 사무총장 △민주당 이인영 최고위원 △4대강살리기본부 심명필 본부장 △4대강 범대위 박진섭 집행위원장이 참석했다. 법안 스님(화쟁위 총무위원)과 강영진 교수(화쟁위 실무위원 한국갈등해결센터 대표) 등이 진행보조로 참석했다.
11월 30일 첫 회의에서는 4대강논의위원회 위원장에 도법 스님이 호선됐다. 또, 7명 안팎의 실무위원을 선임하는 등 위원회 구성, 의제 범위, 쟁점에 대한 합의 결정방식 등에 대해 논의했다.
12월 2일 두 번째 회의에서 4대강논의위는 워크숍과 릴레이 토론, TV토론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합의를 도출하겠다고 결정했다. 또, 미합의 쟁점에 대해서는 중재 측인 종교계가 합리적 중재안을 제시하는 것을 합의했다.
4대강논의위에는 보, 준설을 포함한 기술ㆍ환경적 쟁점, 절차적 쟁점 등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모든 쟁점을 의제의 범위 속에 포함시켜 논의하기로 했다.
의사 결정은 위원장 이훈삼 목사을 비롯해 한나라당 정회석 수석전문위원과 민주당 김영선 전문위원,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안시권 정책총괄팀장, 4대강범대위 명호 상황실장, 법안스님, 오정행 교무가 참여한 실무위원회에서 안을 마련한 후 본회의에서 합의안을 전원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함께 TV토론도 추진될 예정이다.
4대강논의위는 “위원들이 TV토론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했다”면서 “구체적인 일정이나 토론방식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