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불길에 휩싸여 숯덩이가 돼버린 낙산사를 바라보는 이들의 심정은 참담했다. 2008년에는 남대문이, 2009년에는 향일암이 불탔다. 많은 이들이 참담함과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다.
화재 이후 복원된 낙산사에는 새로운 방재 시스템이 들어섰다. 홍예문에서부터 후문에 이르는 경내 산책로 곳곳에는 화재 발생시 있을 수 있는 불꽃과 연기, 온도, 습도 등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 통제센터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센서가 설치됐다. 원통보전 주변에는 산불이 건물에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0∼30m 높이의 물을 뿜어 불길을 차단하는 분수와 같은 시설인 수막시스템이 설치됐다. 원통보전, 보타전, 해수관음전 등 모든 건물에는 소화기와 함께 CCTV와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등 첨단 장비가 갖춰졌다. 해수관음상 주변에는 360도 회전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화재를 감시하게 됐다.
이와 함께 경내에는 소방차 1대가 상시 배치됐다. 야간에는 순찰요원 3명이 경내 곳곳을 살핀다. 또, 속초소방서와는 주기적으로 소방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방재 예측 시스템이다.
조계종 문화부(부장 효탄)는 9월 9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전통사찰 방재 예측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문화부장 효탄 스님이 ‘전통사찰 방재 예측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주제로 기조발제 했다. 엄승용 문화재청 문화재정책국장은 주제발표 ‘전통사찰 및 사찰문화재 방재시스템 구축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 방재 정책의 지속성을, 윤명오 한국화재소방학회장(서울시립대 교수)은 ‘전통사찰 방재 예측 시스템 구축 방안’을 통해 정책의 실효성을 강조했다.
종합토론에는 최태선 불교문화연구소 부소장을 좌장으로 불교미래사회연구소장 법안 스님, 김봉렬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 박성락 문광부 종무제1담당관, 김완섭 소방방재청 소방제도과 소방령이 참여했다.
지난 10년간 전국 사찰에서는 600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했다. 올해에만 33건의 화재가 삼보정재를 불태웠다. 화재원인은 전기(254건, 40%)와 방화(244건 41%)가 대부분이었다. 조계종 문화부가 취합한 문화재 도난현황도 15년간 54건에 달했다.
참가자들은 화재와 도난으로부터 문화재를 지키려면 방재 예측 시스템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사찰별 맞춤형 시스템 구축해야”
효탄 스님은 “전통사찰 방재의 문제점은 화재ㆍ도난 발생 후 대응하는 사후 처리 방재 시스템에 있다”며 “사람에 의한 인재나, 전기화재로 인한 대책으로서 현재의 시스템은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스님은 “예측ㆍ예방적 방재 시스템은 사찰 관리자로 하여금 방재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는 잇점도 있다”고 강조했다.
효탄 스님은 전통사찰 방재 예측 시스템 구축을 위해 △종단의 방재인식 강화 △정관계의 지속적인 관심 △방재 전문인력 양성 △방재 예측 시스템의 연구 개발 등을 제안했다.
스님은 “현재의 소방 설비 및 기준은 전통사찰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비효율적”이라며 “전통사찰 유형별 방재 예측 시스템 기준을 구체적으로 정비하는 등 전통사찰들에 순차적으로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해 나아가야한다”고 말했다.
#“전통사찰 관리자의 인식 개선 우선돼야”
엄승용 문화재정책국장은 “방재 대안이 수립되면 어떤 희생을 감수해서라도 지켜져야 한다”며 소유자 및 관리자들의 안이한 의식을 질타했다.
엄 국장은 “일선 사찰 중에는 사찰 관리자의 기기 숙지 미숙으로 오작동이 발생하고 심지어 경보기를 꺼놓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문화재청은 문화재별 특성에 맞는 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효율적인 문화재 방재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문화재 원형보존의 최우선 △문화재 보존환경 및 관람환경을 고려한 방재시스템 설치 △방범ㆍ경보설비의 특수화된 설비 등을 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체계적인 소방ㆍ방화시스템 갖춰야”
윤명오 회장은 “우리나라 주요 문화재의 화재 사례로 보면 방화ㆍ실화 구분 없이 전소비율이 높다. 이는 소방ㆍ방화시스템이 취약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회장은 △아크감지기와 누전차단기를 이용한 징후감지 △열온도ㆍ연기농도 감지 등을 통한 현상감지 △옥내 소화설비 등을 이용한 초기소화 △소방출동을 통한 화재 진압 성격의 본격소방의 단계별 방호수단을 제안했다.
#“사찰방재 특성화 해야”
종합토론에서 법안 스님은 “전통사찰 유실을 대비해 건축물 등을 실측ㆍ기록하는 정책이 진행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봉렬 교수는 종합토론에서 “지금까지 전통사찰에서는 전기시설을 감추는데 급급했다. 디자인 등을 고려해 전기시스템을 노출시키자”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CCTV와 경보시스템이 별도인 사찰이 대부분”이라며 통합시스템 구축ㆍ운영을 제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