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총무원은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입장 밝혀야 한다. 봉은사도 감정적 대응이 아닌 공론화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봉은사 직영사찰 지정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참여불교재가연대(대표 김동건, 이하 재가연대)가 총무원과 봉은사의 공개토론을 제안했다.
김동건 재가연대 대표와 김원보 교단자정센터 대표는 3월 18일 조계사 다실 나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총무원은 봉은사 직영지정에 무대응이며, 명진 스님을 비롯한 봉은사 측은 감정적으로 강경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양 측은 전 종도에게 서로의 입장을 명확히 설명하고 상호화합의 분위기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토론회 개최 사유를 밝혔다.
재가연대는 3월 넷째주 중으로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는 양 측 대표 3인이 입안 취지 및 당위성, 처리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기존 포교사업의 연속성 등을 발표하게 된다.
김동건 대표는 “총무원 측에 해제 사유, 직영사찰 장단점 분석 등을 담은 당시 입안 제안서를 열람 요청했지만 총무부장 스님이 구도로 보고했다는 답변만이 있었다”며 “논란이 이는 만큼 총무원이 종도들에게 떳떳해야 해야 되기 때문에 논의의 장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원보 대표는 “정부 정책 집행에도 우선 사전 검토를 거치고 용역으로 연구를 한다. 그리고 나서도 국민의견 수렴과 단계적 집행절차를 거친다”며 “이번 논란은 우선 총무원이 여론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책임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대표는 “총무원은 봉은사를 왜 직영사찰로 지정해야 하는지, 지정하면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설명해야 했다”면서 “봉은사도 이성적으로 기존 사업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 등을 종도들에게 납득시키는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재가연대는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총무원과 봉은사 양 측에 입장을 전달하고 토론회 참석여부를 개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