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사찰경내지의 국립공원 해제를 골자로 7월 2일 통도사에서 열린 ‘전국본말사주지결의대회’ 이후 종단 입장을 담은 공식 요구 서한이 환경부와 문광부 등 주요 정부부처에 전달됐다.
공식요구서는 10개 국립공원 내 34개 사찰(암자 포함 119개 사찰) 경내지 1억 4529만 5,984㎡의 해제를 담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가야산 경주 속리산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내장산 월출산 북한산 변산반도 등 10개 국립공원에 속한 해인사, 불국사 등의 사찰 경내지로 전체 국립공원 면적 대비 4.3%로 사찰경내지로는 63%에 이른다.
이에 대해 조계종 총무원 기획실장 장적 스님은 9월 22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종회 분과회의실에서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조계종 사찰 경내지의 국립공원 해제 공식요구서를 문화체육관광부와 환경부에 공문으로 발송했다”고 밝혔다.
이번 요구서에 담긴 해제요청 경내지는 총 19개 육상국립공원 중 △사적 및 명승 지정지 △사찰지 비중 30% 이상 △환경부 해제기준 부합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국립공원 분류기준을 통해 1차적으로 선별한 것이다.
환경부는 해제 기준으로 경내지 5%이하의 국립공원과 20세대 이상의 거주지가 있는 경내지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장적 스님은 “위 요구서는 9월 8일 종무회의에서 ‘문화유산지역보전을 위한 대정부 요구사항’으로 결의된 것으로 중장기 과제 중 현단계 실현 가능한 우선 요구사항을 정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님은 이어 “이번 요구사항을 토대로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국무총리실 등 관계기관과 문제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방침을 밝혔다.
기획실 관계자는 “수용여부를 알 수 없지만, 종단의 각 부처를 상대로 한 노력으로 긍정적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며 “10월 말쯤으로 좋은 소식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립공원 | 사찰수 | 해당사찰 | 공원구역內 경내지(㎡) | 해제요청 면적(㎡) | 국립공원 면적대비(%) |
가야산 | 23 | 해인사외 22개 암자 | 23,000,000 | 18,500,000 | 24.0% |
경 주 | 12 | 불국사,석굴암,백률사,보리사,기림사,천룡사,부흥사,상선암,황룡사,골굴사,굴불사,금선사 | 8,751,118 | 8,751,118 | 6.3% |
속리산 | 12 | 법주사외11개 암자 | 43,300,000 | 19,200,000 | 7.0% |
지리산 | 27 | 화엄사,천은사,연곡사,실상사,쌍계사외 22개 암자 | 26,240,169 | 26,240,169 | 5.6% |
설악산 | 9 | 백담사,신흥사외 7개 암자 | 40,724,123 | 40,724,123 | 10.2% |
오대산 | 12 | 월정사외11개 암자 | 58,640,755 | 1,535,524 | 0.5% |
내장산 | 12 | 백양사,내장사외 10개 암자 | 21,949,334 | 21,949,334 | 26.9% |
월출산 | 1 | 도갑사 | 3,764,056 | 3,764,056 | 6.7% |
북한산 | 5 | 화계사,도선사,진관사,승가사,금선사 | 495,303 | 495,303 | 0.6% |
변산반도 | 6 | 내소사,개암사,월명암,실상사외2개 암자 | 4,136,357 | 4,136,357 | 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