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교회권력의 정치세력화를 현실화시킨 장본인으로, 불교계의 저항과 반발은 당연하다.”
종교편향을 그치지 않고 있는 이명박 정부에 개신교 교수들도 사과를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회장 김성은, 이하 기독자교수협)는 9월 2일 ‘이명박 정부의 종교편향에 대한 사과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에서 기독자교수협은 “이명박 대통령이 기독교 편중적 사고를 갖고 정치와 국정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대통령 개인의 문제가 아닌 소위 보수적 복음주의를 표방하는 배타적 기독교 교회 때문”이라 지적했다.
이어 “일부 보수적 기독교가 이웃종교들을 비하하고 폄하하면서 외형을 키우고, 정권들과 유착해 권력을 누려왔다”며, 담임목회자 세습, 교단 대표자리 싸움과 돈 선거문제, 기독교 정당 등 정치세력화 등을 예로 들었다.
기독자교수협은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어청수 경찰청장 사퇴 ▲개신교의 정치세력화 및 이웃종교에 대한 배타적 자세 중단을 촉구했다.
다음은 기독자교수협 성명서 전문이다.
이명박 정부의 종교편향에 대한 사과를 촉구하는 성명서
이명박 대통령은 서울시장 재직시절부터 현재 대통령이 되어서도 기독교 편중적인 사고를 갖고 정치와 국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외 정부의 주요 인사들의 기독교편중적 언행은 기독교외 다른 종교인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이를 바라보는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의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
이 문제는 단순히 대통령 한 개인의 신앙관의 문제가 결코 아니다. 그 뿌리는 역사의식이 결여되어 민주화 과정에서 정치 사회참여를 죄악시하던 소위 보수적 복음주의를 표방하는 배타적 기독교 교회가 대형교회로 성장해 온 것에 있다. 대형교회와 일부 보수적인 기독교는 성서와 개인 영혼구원관에 절대적인 권위와 우월한 의식을 이유로 자주 이웃종교들을 비하하고 폄하하였다. 또 단순히 교회 외형만 커진 것이 아니라 지난 정권들과 유착하여 권력을 누린 일부 교회들은 내부의 비리와 부패를 은폐하기 위해 매우 저급하고 미성숙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교회 재정의 불투명, 담임목회자 세습, 교회 안의 성차별, 교단 대표 자리싸움과 돈 선거문제, 기독교 정당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유지들을 중심으로 한 정치 세력화, 공격적이고 경쟁적인 해외선교 등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로 비화되어 언론에서도 수차례 다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강남의 대형교회 장로인 이명박 대통령은 초기에 인수위원회위원, 청와대, 내각인선에 특정교회 인사들을 임명하고, 주요 국정도 특정교회에서 찾는 등 교회권력의 정치세력화를 현실화시킨 장본인이 되었다. 국가의 요직 자리의 대부분이 기독교, 가톨릭 신자들로 구성되고, 이웃종교인은 몇 명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대한 불교계의 저항과 반발은 당연하다.
여기에 권력에 앞장서서 충성하는 어청수 경찰청장과 일부 고위 공무원들의 기독교 편향성은 이제 심각한 정치문제로 비화하고 있다.
이에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는 아래와 같은 주장을 하는 바이다.
첫째, 이명박 대통령은 더 이상 종교인들의 갈등을 조장하지 말며, 대국민 사과를 할 것.
둘째, 촛불시위자들에게 보여준 폭력적인 진압과 불교에 대한 편향적인 자세를 보여준 어청수 경찰청장은 사퇴해야 한다.
셋째, 한국의 대형교회와 일부 보수 기독교는 정치세력화를 금지할 것이며, 이웃종교들에 대한 독선적이고 배타적인 자세를 금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2008년 9월 2일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