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종교차별 종식을 위한 범불교도대회가 8월 23일 봉행된다. 조계종을 비롯한 불교종단과 불교단체로 구성된 ‘범불교 비상대표자회의’는 8월 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회의를 열고 8월 23일 ‘오만ㆍ독선 이명박정권규탄, 종교차별 종식 범불교도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조계종 등 주요종단대표와 불교단체대표, 사찰대표 등 100여명은 조계종 중앙종회 초선의원모임 대표 진화 스님(봉은사 총무국장)을 임시의장으로 선출하고, 봉행위원회를 구성해 법회장소, 시간 등 세부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봉행을 위임받는 위원회는 조계종단부실장 3명, 조계종회대표 3명, 태고종ㆍ천태종ㆍ진각종 등 주요종단대표 6명, 재가단체대표 등으로 구성돼 7일 첫회의를 열고 범불교도대회를 조율할 예정이다.
진화 스님은 “정부의 공식서한 답변과 상관없이 범불교대회를 개최한다”며“하안거 결제를 기한 13일 승려대회를 보류하고 연계해 봉행한다”고 밝혔다.
이어 ‘범불교비상대표자회의’는 결의문을 통해 ▲최근의 종교 차별과 갈등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 ▲어청수 경찰청장 등 관련 공직자 파면 ▲종교차별을 금지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위한 정부와 정치권을 포함한 ‘범사회적 합의기구’ 구성을 요구하고, “이 같은 요구가 실현되지 않을 경우 현 정권에 대한 저항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인권위원회(위원장 진관)도 8월 4일 오전 11시 조계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종교편향 행위와 불교 탄압을 중단하라는 대정부 성명서를 발표했다.
![]() | ![]() | |||
| ||||
![]() | ![]() |
아래는 범불교비상대표자회의가 발표한 결의문 전문이다.
결의문 |
우리는 오늘날 자행되고 있는 이명박 정부의 제반 불교모욕과 탄압행위가 공직수행상의 단순한 실수나 공직자 개인의 종교적 신념의 과다에 따른 우발적 결과가 아니라는 점에 대해 문제의 심각성을 절감한다. 우리는 현하 일부 종직자의 종교차별 행위가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종교적 신념을 가진 이들에 의한 ‘전국민 복음화’의 조직적 움직임으로 나타나고 잇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며, 그 결과가 단군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3ㆍ1운동과 상해임시정부의 법통을 부정하여, 헌법전문에 명기된 대한국민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으로부터 역사적으로 단절시키는 민족적 정통성의 부정으로까지 나아가지 않을까 심히 우려한다. 또한 우리는 현재와 같은 상황이 전개된다면, 헌법에 명시된 신앙의 자유, 종교에 의해 차별받지 않을 권리, 정치와 종교의 분리, 공직자의 종교적인 중립 등의 정신이 파괴되어, 다종교 국가로서는 모범적으로 종교간 이해와 관용의 기초를 굳건히 해온 우리 사회에 종교갈등을 고조시킴으로서 민족적 불행을 초래하게 될 것임을 경고한다. 이에 우리는 이러한 불행한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헌법적 테두리 안에서 필요한 법과 제도를 사회적 합의를 통해 시급히 정비하고, 범국민적 토론을 통해 개인의 자유와 정부의 책임을 각성하는 성찰의 기회를 만들어 갈 것을 다짐하며 다음과 같이 결의한다. 一. 우리는 대통령이 헌법수호 차원에서 현하의 종교적인 차별과 갈등에 대해 대통령이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할 것을 주장한다. 一. 우리는 최근 발생한 정부의 종교차별적 행위에 대해 불교계에서 익히 요구한 바와 같이 어청수 경찰청장 등 관련공직자를 파면할 것을 주장한다. 一. 우리는 헌법정신 실현과 종교적 차별 금지를 위한 근본적인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해 정부와 정치권을 포함한 ‘범사회적 합의기구’ 구성을 제안한다. 一. 우리는 이와 같은 우리의 요구가 실현되지 않는다면, 민족종교, 평화애호적 기독교, 시민사회와 연대해 현 정권에 대한 저항운동에 나설 것이며, 이를 위해 ‘범불교도대회’ 개최를 비롯해 불자들의 강력한 의지를 결집해 나갈 것임을 천명한다. 불기 2552년, 단기 4341년 8월 4일 헌법파괴 종교차별 종식 대책을 위한 범불교비상대표자회의 참가자 일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