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5 (음)
> 문화 > 학술·문화재
1500여년전 ‘녹유전’ 3D로 살아나
국립경주문화재硏,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편 복원
발견당시의 녹유전

통일신라 사찰 가람을 처음 이뤘던 사천왕사지에서 출토돼 섬세한 조각과 생동감 넘치는 표현으로 주목 끌던 녹유전편이 3D 기술로 복원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 이하 연구소)는 “통일신라 호국사찰인 경주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에서 출토된 녹유전(綠釉塼)에 대해 최첨단 3D 스캔 장비를 이용한 정밀 실측조사를 통해 관련정보를 획득했다”고 7월 28일 발표했다.

사천왕사지는 통일신라 초기인 문무왕 19년(679년) 창건된 쌍탑식 가람으로 2기의 목탑을 배치한 통일신라 초기 사찰이다. 현재까지 경주시 배반동 935-2번지에 폐허 상태로 남아 있는 사천왕사지에서 일본강점기 수습했던 녹유전편이 탑 기단부를 장식했던 면석(面石)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d로 복원한 녹유전 A상
연구소는 1930년대 사천왕사지에서 수습해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된 관련 편들과 서목탑지에서 확인한 A상과 C상(강우방 교수 분류에 의함) 것을 3차원 영상촬영을 시도해 도상으로 복원했다.

지금까지 연구된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전은 3종류 도상이라는 것만 밝혀졌을 뿐, 대부분 파편형태로 도상의 형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다.

연구소는 “이번 작업을 통해 녹유전 크기(높이 90cm, 너비 70cm, 두께 7~9cm)와 A상과 C상에 표현된 섬세한 문양까지 모두 확인 할 수 있었다”고 발표했다.

녹유전 A상은 주상(主像)이 둥근 천정을 이룬 감실(龕室)에 무릎 꿇은 좌우 악귀(惡鬼)를 올라타고 왼손에는 긴 칼을 들고 우측면을 비스듬히 응시하고 있는 모습이다.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사자머리 장식의 흉갑(胸甲)과 작은 소찰로 장식된 요갑(腰甲)을 착용한 형상이다.

3d로 복원한 녹유전 C상
허리 아래 모습만 부분적으로 파악돼 얼굴 모습이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C상도 이번 정밀실측으로 전체적인 윤곽을 드러냈다. C상의 주상 얼굴모습은 둥근 감실 속에서 작은 비늘모양의 소찰(小札)로 구성된 엉성한 투구를 머리에 착용하고, 크게 부릅뜬 두 눈과 넓게 퍼진 큰 코를 가진 화난 얼굴로 좌측면을 노려보는 아주 험상궂은 인상의 상으로 밝혀졌다. 오른손을 들어 술이 길게 달린 칼을 쥐고 천의를 휘 날린 채, 두 마리의 악귀에 걸터앉아 왼손은 오른발에 걸린 왼다리의 무릎에 댄 반가부좌(半跏趺坐)하고 있는 신장상의 모습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전의 3차원 스캐닝작업을 통해, 접합가능한 잔편의 가상 접합 및 도상복원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녹유전의 틀(范)을 추정해 틀과 조상의 차이 등 고고미술사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진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녹유전 복원 결과물을 이용해 복제품 제작이 가능해져 문화재 전시와 학습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주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전에 대한 3D 스캐닝 작업과정 등은 <경연고고> 제17호에 소개돼 있다.
조동섭 기자 | cetana@buddhapia.com
2008-07-28 오후 4:41: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