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교정화운동의 재조명>은 고영섭 교수(동국대), 김광식 교수(부천대) 등 불교사연구위원회에 참여했던 9인의 학자들이 1년간의 연구 활동을 결산한 것이다. 보다 거시적인 안목과 성찰로 불교정화운동을 학술적으로 조명했다는 결과는 어떤 것일까?
연구실무 책임자인 현종 스님(교육원 불학연구소장)은 발간사에서 “불교정화운동은 식민지 불교의 잔재 청산을 기함과 동시에 계율 수호와 청정 수행가풍을 회복하기 위해 일어난 운동”이라고 말했다.
이재헌(경원대 강사)씨는 ‘미군정의 종교정책과 불교계의 분열’을 통해 “불교정화운동은 개신교에 유리한 종교정책에서 시작된 것”이라는 견해를 내놓았다. 김상영 교수(중앙승가대)는 ‘정화운동시대의 종조 갈등 문제와 그 역사적 의의’에서 정화운동 기간 중 종조문제가 첨예한 대결구도에 있다는데 중점을 뒀다. 김 교수는 “일반 언론이 비구-보조 지눌파, 대처-태고 보우파라는 이분법적 표현을 사용하면서 정화운동이 종조문제로 변질됐다”고 주장했다. 정화운동을 지나면서 사찰 재산이 상당량 망실됐다는 사실도 김순미(한국교원대 대학원)씨의 ‘농지개혁과 사찰농지의 변동’을 통해 증명됐다. 비구 중심의 한국불교에서 소외됐던 비구니에 대한 연구도 정리됐다. 황인규 교수(동국대)는 “정화운동때 경무대 시위만 예를 들어도 비구니들이 선봉적 역할을 했다는 점, 정화대책에 비구보다 많은 수가 서명에 참여했다는 점 등을 들어 불교정화운동의 비구니 참여가 현대 비구니 불교계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형성했다”고 적었다. 윤승용 연구위원(한국종교문화연구소)는 ‘불교 정화공간과 사회복지’를 통해 불교정화운동 당시 불교사회복지 실태를 살폈다. 윤 위원은 “당시 보이는 불교사회복지활동은 일제강점기부터 유래된 것뿐으로 미미한 수준”이라면서 분규가 마무리된 1970년대까지 사회복지사업 등 대외 사업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고영섭 교수의 ‘불교정화의 이념과 방법’, 김광식 교수는 ‘불교정화운동과 화동위원회’, 김순석 수석연구원(한국국학진흥원)이 ‘이승만 정권의 불교정책’을, 이경순(한국철도대 강사)씨의 ‘근대 불교 구술사 성과의 현황과 과제’ 등 총 9편의 연구성과가 수록됐다.
조계종은 <불교정화운동의 재조명>이 객관성ㆍ다양성을 갖고 접근한 책자라며 불교정화운동에 대한 자의적ㆍ호교적 이해를 극복했다고 자평한다. 하지만 학계 일각에서는 “조계종, 태고종이 대승적 차원에서 공동 연구팀을 꾸려 공동결과물을 발표하지 않는 한 불씨는 계속남아있다”고 지적한다. 청화 스님의 “앞으로도 종단사에 관련된 문제가 제기되면 그에 대한 학술적인 정리 작업을 지속하겠다”는 계획이 그런 시각을 반증하는 것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