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6.20 (음)
> 종합
“직업포교사 검토 필요할 때”
정토사 덕진 스님, 포교현실에 대한 세미나 열고 방안 제시

인재가 부족한 불교현실을 위해 울산 정토사 주지 덕진 스님이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직업 포교사를 두어 전문 인재를 길러 포교에 더욱 매진하자는 것이다.

12월 11일 부산불교회관 4층 교육관에서 사단법인 동련과 울산 정토사가 주최하고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에서 주관한 세미나자리에서다.

덕진 스님은 “현재 불교 포교가 미진하여 학생회 및 청년회는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실정인데 불교종단은 아직도 고려시대의 교육제도와 의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며 “불교의 진리는 변하지 않되 지혜를 얻게 하는 방법은 시대문화상 또 중생의 근기에 맞게 변화는 것이 불교의 대기 설법이자 응병여약의 법이다”며 불교 포교의 현실을 지적했다.

덕진 스님은 불교발전을 위해 열가지를 제안했다. ▲포교 지도자 수 증가▲불교의식 및 법회를 한글과 우리말로 진행 ▲비구니 스님 종무직과 포교직에 더욱 많이 중용하여 소임 맡김 ▲사찰재정 관리는 일부는 스님 일부는 신도가 하여 투명운영 할 것 ▲주말 가족법회 장려 ▲교육 복지시설 증대 ▲각 계층의 집단법회 장려 ▲선방수행승 해제철 시 종무소나 포교에 매진 ▲청소년 법회와 방과 후 교실 공부방 운영 ▲방송 인터넷 불교관련 보도 확장 등을 주장했다.

덕진 스님은 “불교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아야 언급한 열 가지 방안들이 시행 될 수 있다”며 “고학력 실업자가 늘어나는 현실과 포교현장의 스님 숫자는 적고 또 앞으로도 출가자는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고 우려했다. 스님은 “포교현장의 인력이 많아야 불교의 앞날을 기약할 수 있는 데, 스님들만으로는 역부족이니 동국대학 등 조단교육기간에서 불교교육을 받은 불자를 선발해서 스님을 돕고 포교일선에 직업적으로 나서게 하는 직업 포교사 제도의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동국대 이철헌 겸임교수가 ‘직업포교사 제도 도입에 관한 검토’, 동국대 불교사회문화연구원장 윤영애 교수의 ‘불교대학 졸업생의 사회진출과 그 개선 방안’ 그리고 마지막 발표로 부산 홍법사 주지 심산 스님이 ‘어린이 포교현장에서의 포교인력 현실과 어린이포교지도사 배출의 현황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이어졌다.

심산 스님은 어린이 포교의 현실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으로 어린이 전문 지도자인 직업포교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하성미 기자 | hdbp@hanmail.net
2007-12-18 오후 6:08:00
 
한마디
syc6712 돈 않줘도 포교에 힘쓰고있으며 환희심으로 하고있다
(2008-01-01 오후 12:02:58)
40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8.1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