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6.26 (음)
> 종합
장윤 스님 "누구에게도 외압 받은적 없다"
조계종 대변인 통해 입장 밝혀..신씨 두둔한 것 아니라 반어법
조계종 대변인인 기획실장 승원 스님이 8월 28일 기자회견을 통해 장윤 스님의 입장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박재완 기자
장윤 스님이 신정아 사건과 관련해 조계종 대변인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조계종 대변인 승원 스님은 8월 28일 오후 3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회의실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장윤 스님이 변양균 대통령정책실장을 만나 불교 현안을 상의한 것은 사실이나 이 과정에서 누구로부터도 회유를 받은 사실이 없다”며 “광주비엔날레 감독 선임과 관련해서도 반어법으로 얘기한 것이 마치 신정아씨를 두둔한 것처럼 와전됐다”는 장윤 스님의 입장을 밝혔다.

승원 스님은 “장윤 스님은 본인의 진의와 다르게 와전되어서 사회에 물의를 빚게 되고 결과적으로 불교계와 종단에 누를 끼치게 된데 책임을 느끼고 사실을 밝히기 위해 종단 대변인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히게 됐다고 말했다”며 “장윤 스님은 한갑수 전 광주비엔날레 이사장에게 예술감독 선임과 관련해 반어법으로 ‘예술감독이 행사만 잘 치르면 되지 박사학위가 무슨 관계가 있느냐’고 말한 것이 마치 신씨를 옹호하는 것처럼 오해되고 있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자회견 자리에 직접 나서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본인의 의지와 다르게 언론과 방송에 대대적으로 보도됨에 따라 사태가 겉잡을 수없이 번지고 기자들의 연락이 계속되자 부담을 느꼈고, 전등사 주지이자 종회의원으로서 조계종 대변을 통해 입장을 밝히는 것이 낫겠다고 판단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한편 승원 스님은 이번 사태에 대한 조계종의 입장에 대해 “이번 일은 종립학교를 둘러싼 일이므로 종단이 직접 관여하기는 곤란하지만 이것이 불교계 일로 번지고 있고 국민적인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좀 더 적극적이고 원만한 사태 해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조계종의 발표 내용과 승원 스님과의 일문일답

조계종은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윤 스님의 입장이 확인되어야 한다고 판단, 여러 차례 연락을 취하던 중 어제 저녁 먼저 전화가 왔다. 장윤 스님은 본인의 진의와 다르게 와전되어서 사회에 물의를 빚게 되고 결과적으로 불교계와 종단에 누를 끼치게 된데 책임을 느끼고 사실을 밝히기 위해 종단 대변인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히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하고 전화를 했다고 말했다.

첫째, 장윤 스님이 변양균 정책실장을 만나 전등사 등의 여러 가지 현안문제를 상의한 것은 사실이다.
둘째, 이 과정에서 변양균 실장이나 다른 어떤 사람으로부터도 회유나 협조의 부탁을 받은 사실이 없다.
셋째, 이번 일이 본인의 진의와 다르게 와전되어 세상에 알려져 큰 물의를 빚은 것에 대해 매우 유감으로 생각하고 있다.

-일간지 보도에 대한 해명
어제 그제부터 장윤 스님이 신정아씨의 가짜 박사학위 문제를 파헤치다 한갑수 前 비엔날레 이사장과의 전화통화에서 신씨를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는 기사가 났다.

자신이 문제 제기한 인물인데, 180도 돌변해서 신씨를 두둔하거나 옹호할 생각은 전혀 없었다. 문제 제기했는데 주위에 도와주는 사람 없었고, 책임감독으로 선임된 것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아 반어법으로 “전시 기획만 잘 하면 되는 부분인데, 박사학위가 무슨 관계가 있느냐”고 얘기한 것이 오해를 야기했을 뿐이다. 본인은 절대 신씨를 두둔하거나 외부의 부탁을 받고 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힌다.

-대변인 통해 입장 밝히는 이유
장윤 스님 본인은 사실과 다르게 신문 방송에 대대적인 보도로 사태가 겉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기자들로부터 연락이 오는 것에 대해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전등사 주지이자 종회의원으로서 종단의 대변인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히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으로 연락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에 대한 종단의 입장
우리 종단은 이번 사태가 종립학교를 둘러싸고 일어난 일이라 직접 관여하기 곤란한 입장에 있지만, 이것이 불교적인 사태로 비화될 수 있고 사태가 확산되어 국민적인 관심사로 부각된 점에 대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원만한 사태수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은 말씀드린다.

-변실장을 만났을 때 신정아씨 얘기는 나오지 않았다는 것인가?
변 실장을 만나 불교현안이나 전등사 문제 등 많은 의논을 했을 것이고, 동대 문제는 가볍게 언급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하지만 장윤 스님으로부터 직접 들은 적은 없다. 다만 어떤 회유나 협조 부분은 없었다. 신씨의 문제가 이날 대화의 주 내용은 아니었다고 장윤 스님은 말했다.

-장윤 스님의 검찰 출두 등 향후 일정은?
향후 계획은 말하지 않았고, 본인이 직접 나서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긍정적으로 생각해서 처리하지 않겠나 생각한다.
여수령 기자 | snoopy@buddhapia.com
2007-08-28 오후 3:36:00
 
한마디
wwhale96 이번의 여러 보도를 보면서 한가지 의문이 들어 이 글을 씁니다. 참고로 저는 장윤 스님이 계시는 이사장으로 계시는 학교 교사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사건 조사가 진행되어 가면서 점차 모든 의혹의 열쇠를 스님이 쥐고 계시는 양 몰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선 잠적이라고 하는데, 주기적으로 학교에 오셔서 시찰하시고 교직원들과 면담을 하시고 격려를 하고 계시는데 잠적이라니요? 기자 개인적으로 연락이 닿지 않는다고 해서 ‘잠적’이란 말을 쓰기에는 너무 성급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공적으로 여러 소임을 맡고 계시는 분이시고 그동안 이 사건으로 미뤄두었던 여러 일들을 한꺼번에 처리하시는 등 평소의 일정을 그대로 하고 계시는데 그런 말을 쓴다는 것은 아무리 매스 미디어의 속성(다수의 관심을 위한 ‘옐로우 페이퍼’적인 속성)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실망감을 감출 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고문 변호사가 지정한 호텔에서 만난 것을 마치 호화스런 호텔에서 숙박한 것으로 몰고 가는 행태를 보면...... 참...... 곪아있는 것을 가리기만 하는 모습을 보다 못하셔서 스님 본인의 이사직 박탈을 감수하고 하신 일을 사회(정, 관, 언론) 기관에서는 올바르게 조사해서 바로잡기보다는 자기들의 이익에 따라 속인들의 관심거리를 만드는 일에만 몰두하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지금 그 베일이 벗겨지고 있으며 사실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동국대 모든 이사님들은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전원 사퇴를 하고 모든 일을 여법하게 조사 처리하는 것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일 것입니다.
(2007-09-13 오후 1:55:59)
65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8.1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