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박사''임이 밝혀져 미국으로 도피중인 신정아씨에 대한 의혹을 처음 제기했던 이들에게 청와대 외압이 있었다는 기사가 조선일보에 보도됐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신정아씨의 학위 문제가 언론에 보도되기 직전인 지난 7월,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파문 확산을 막기 위해 무마에 나섰던 것으로 8월 23일 밝혀졌다.
변양균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장관급)이 신씨의 가짜 학위 의혹을 처음 제기한 장윤 스님(前 동국대 이사)에게 두 차례에 걸쳐 ‘더 이상 문제 삼지 말라’는 취지로 압력성 회유를 한 것이라고 조선일보는 전했다.
조선일보는 장윤 스님이 6월 29일 신씨의 가짜 학위 문제를 처음 공론화한 뒤 3~4일쯤 지나 변 정책실장이 장윤 스님에게 대통령 수행차 가 있었던 과테말라에서 국제전화를 걸어 “가만히 있어주면 잘 수습하겠다”고 말했고 이어 귀국한 뒤 7월 8일 조선호텔에서 장윤 스님을 만나 “더 이상 (신씨의 가짜 학위를) 문제삼지 말라. 조용히 있으면 적당한 때 동국대 이사직에 복직되도록 하겠다”고 회유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한국경제는 ''변양균 정책실장 ''신정아씨 비호설'' 부인'' 제하의 기사를 통해 "변양균 청와대 정책실장은 24일 자신이 신정아씨의 `가짜 학위'' 의혹을 제기한 장윤(전 동국대 이사) 스님에게 압력성 회유를 했다는 조선일보 보도에 대해 "신씨 문제에 개입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다"고 보도했다.
한국경제에 따르면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이 "변 실장은 보도 내용중 `신씨의 가짜 학위 문제를 처음 공론화한 뒤 3∼4일쯤 지나 장윤 스님에게 과테말라에서 국제전화를 걸었다''는 보도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고 밝혔다.
또한 신씨와의 관계에 대해 "신씨는 미술에 관심이 많고 전시회를 자주 찾는 사람에게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사람"이라며 "미술에 관심이 많아 전시회 등에서 신씨를 자연스럽게 알게 됐지만 개인적인 친분은 없으며, 이 문제와 관련해 어떠한 연락도 부탁도 받은 바가 없다"는 변 실장의 발언을 보도했다.
한국경제를 통해 천 대변인은 "변 실장은 청와대 불자모임 회장으로서 불교계 여론도 듣고 정책의견과 불교계 민원도 수렴해오면서 불교계 인사는 물론 대표적 불교계 학교인 동국대 관계자들도 수시로 만나왔다"면서 "변 실장은 불교계와 동국대에 애정을 가지고 갈등 당사자를 만나 서로 화합하기를 권유하고 설득하는 과정에서 동국대 前 이사이자 전등사 주지인 장윤 스님을 만나게 된 것이지만 당시 신씨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