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후보들이 난립하는 등 벌써부터 선거바람이 뜨겁다. 여야 예비 대선후보들의 불교계 공들이기도 일찌감치 시작되고 있다.
여야 각 정당의 불교 공략이 거세지면서 최근 불교계에도 ‘대선용’ 모임이 속속 발족하고 있다.
범여권에서는 7월 19일 오후 3시 조계사 대웅전에서 불교미래포럼(공동 창립준비위원장 배영진, 임동주) 창립법회를 연다.
‘불교미래포럼’은 △종책 포럼 개최 △종교문화정책 연구 △대선공약 마련 및 종책 개발연구위원회 구성 △인재양성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연구소 설립 등의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조직은 자문위원으로 중진 스님 및 사회각계인사들을 위주로 50인, 공동대표 10인 이내로 하고, 16개 지역포럼도 구성할 계획이다.
정웅정 준비단장은 “범여권 대선주자들에게 불교의 종책 문제를 알리고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노력하겠다”고 창립취지를 밝혔다.
한나라당 중앙위 불교분과위원회(위원장 심담)는 7월 13일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한나라당 전국불교연합’ 발대식을 갖고 본격적인 ‘불심(佛心) 잡기’에 나섰다.
전국불교연합은 범종단 차원에서 출ㆍ재가 불자를 회원으로 영입해 전국 조직을 구성하고, 경선을 통해 선정되는 한나라당 대선 후보에 지지를 보낸다는 방침이다.
전국불교연합에는 해천(광주 마하연 주지) 영공(부산 태종사 조실) 도천(한미사 조실) 장산(불교뉴라이트 상임대표) 스님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심담 스님은 "불교의 권익옹호를 위해 정치계에 뛰어들었다"며 "2007년 대선 필승에 불교신자의 단합된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계종 총무원과 조계종중앙신도회도 대선과 내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불교 정책을 제시하기 위한 ‘불교정책기획단(공동단장 승원ㆍ김응철)’을 6월 26일 발족했다. 불교관계법과 문화ㆍ문화재정책ㆍ환경ㆍ남북불교문화교류 등 다방면에 걸친 불교 관련 정책에 대한 불교계의 정리된 입장을 제안하겠다는 뜻에서다. 기획단은 오는 9월까지 불교 관련 정책을 분야별로 논의한 뒤, 이를 대선 후보에 전달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한 목소리도 높다. 이들 단체가 불교권익 옹호를 내세우지만 자칫 특정후보나 특정사안에 대한 줄서기나 갈등조장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우려다.
정천구(영산대 정치학과) 교수는 “요즘은 옛날 왕조시대와 다르게 국민의 요구가 있는 민주사회이기 때문에 불교가 어떻게든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하지만 불교의 정치참여는 큰 틀에서 주권자인 국민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영향을 미쳐야 한다. 즉 불교이념의 강력한 사회 전파 운동을 통해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향이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