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6.28 (음)
> 종합
"발우공양은 가장 완벽한 식사법"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화계사 강연 및 발우공양 체험
7월 11일 화계사를 방문해 발우공양을 체험한 호지 여사는 <발우공양은 최고의 식사법>이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사진=박재완 기자

스웨덴의 언어학자이자 세계적인 생태환경운동가인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61, Helena Norberg Hodge) 여사가 7월 11일 서울 화계사를 방문해 발우공양을 체험했다. 호지 여사는 난생 처음 체험한 발우공양에 대해 “세계에게 가장 친환경적이고 깨끗하고 자연절약적인 식사법이며, 또한 발우를 들고 음식을 먹는 행위를 통해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이 가능한 ‘수행식사법’”이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7월 11일 화계사를 방문해 ''현대사회에서의 불교’를 주제로 강연한 호지 여사는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는 불교의 가르침대로, 자연과 지역이 함께 생존할 수 있는 공동체를 복원해야 한다”며 “세계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제대로 자각하고 이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호지 여사는 이날 <현대사회에서의 불교>를 주제로 강연했다. 사진=박재완 기자

1시간 동안의 강의를 마친 후 호지 여사는 보화루로 자리를 옮겨 발우공양을 체험했다. 화계사 문화원장 묘봉 스님의 지도로 조심스레 발우를 편 호지 여사는 발우에 담긴 뜻과 음식을 먹을 만큼만 덜고, 오관게로 음식에 대한 감사를 표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진지하게 경청했다. 식사 후 그릇에 남은 음식을 깨끗이 닦아 그 물을 마시고, 그릇을 씻은 천수물 역시 맑은 물만 버리고 찌꺼기는 마시는 발우공양 의식도 직접 체험했다.

호지 여사는 국내에서 발우공양의 정신을 이어 받은 ‘빈그릇 운동’에 동참하는 사람이 100만명을 넘어섰다는 설명을 듣고 매우 놀라며, “자연의 낭비를 막는 발우공양이 전세계적으로 실천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호지 여사는 자신이 사용한 발우를 선물로 받았다.
화계사 주지 수경 스님은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해 발우공양 체험을 마련했다>며 호지 여사에게 이날 사용한 발우를 선물했다. 사진=박재완 기자

수경 스님은 “음식물쓰레기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현대 사회에서, 발우공양 정신을 통해 그 대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는 뜻에서 발우공양 체험을 준비하게 됐다”고 밝혔다.

호지 여사는 1980년부터 ‘라다크 프로젝트’라는 국제조직을 만들어 라다크의 공동체 의식을 전파하는 데 힘써왔으며, 1986년 대안 노벨상이라 불리는 스웨덴 ‘바른생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91년부터 ‘에콜로지 및 문화를 위한 국제협회(International Society for Ecology and Culture)’를 운영하며 생태와 문화의 다양성을 보호하는 운동을 이끌고 있다.
여수령 기자 | snoopy@buddhapia.com
2007-07-12 오전 10:55:00
 
한마디
공부하시는 스님들은 거의다 발우공양 합니다... 강원이나 선원에 계신분들은 발우를 항상 펴지요...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곳이니 잘 모를 수 있지요...
(2007-07-28 오후 6:03:39)
33
무슨 기독교 단체에서 나오셨나? 아주 작정을 하셨네요. 님들은 그런 스님들만 보셨나요? 아니면 그런 스님들만 보려고 찾아다녔는지? 훌륭하게 공부하시는 많은 스님들이 계시다는 것 잊지마십시오.
(2007-07-18 오후 8:16:39)
71
이는 바로 발우공양이 일상에서 행해지지 않고 저렇게 템플스테이 단기출가나 전시용 행사때나 잠깐 하는 척만 하기 때문이다. 스님들도 신도들 앞에선 무소유 자비를 설하지만 돌아서고 나면 속복으로 갈아입고 온갖 부정비리와 호화사치를 일삼는 것처럼.
(2007-07-17 오전 8:02:53)
72
“세계에게 가장 친환경적이고 깨끗하고 자연절약적인 식사법이며, 또한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이 가능한 ‘수행식사법’” 이라면 왜 한국불교나 한국스님들은 "세계에서 가장 비도덕적이고 부패하며 비리친화적인 불교와 스님"이 됐으며 또한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이 도저히 불가능한 구제불능불교와 스님"이 됐는지?
(2007-07-17 오전 8:00:22)
67
실제 모 사찰 청년회에서 수련회차 모 사찰을 찾으면서 일정중에 발우공양을 넣어달라고 했더니 그 사찰 담당자는 오히려 화를 내며 요새 발우공양 누가 하냐 다 스님들 일반공양 한다고 하여 해당 청년회는 눈물을 머금고 결국 발우공양을 수련회 일정에서 빼야 했음.
(2007-07-17 오전 7:57:34)
82
하지만 대부분의 사찰에서 발우공양은 귀찮다는 이유로 안하는게 현실. 오히려 템플스테이 단기출가 또는 이렇게 전시용 행사때나 잠깐 하는척만 한다는 사실.
(2007-07-15 오후 1:27:59)
78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8.2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