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6.28 (음)
> 종합
"문화재관람료 거부운동 전국 확산할 것"
시민환경단체 10일 기자회견서 주장
시민환경단체들이 7월 10일 서울 조계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시민환경단체들이 문화재관람료 징수가 부당하다며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7월 10일 서울 조계사 앞에서 개최했다.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대한산악연맹, 문화연대, 환경운동연합 관계자 20여명은 기자회견에서 성명서를 통해 “국립공원 입장료가 지난 1월 폐지된 후 반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문화재관람료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며 “도리어 18개 사찰은 문화재관람료를 25%~43%나 기습 인상했을 뿐만 아니라, 사찰과 전혀 관계없는 곳에 매표소를 운영하며 문화재와 관련 없는 부당한 통행세를 징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국민들이 납득할 수 없는 문화재 징수 근거, 불합리한 매표소 위치, 불투명한 금액 산정과 사용처 등은 모두 시민의 정서에 반한다”며 “문화재관람료 부당징수 폐지 운동을 확산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서 문화재 관람료 부당징수에 맞선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기자회견에서 이들 단체들은 ‘갈취’ ‘현대판 산적행위’ 등의 단어를 사용하며 조계종을 원색적으로 비난했고, 황평우 문화연대 위원장은 “사찰 소유 토지는 국가가 조선시대부터 소유권을 준 것이 아니라 이용권을 준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황평우 위원장은 또 “정부와 조계종이 참여하고 있는 ‘국립공원 및 문화재관람료 제도개선협의회’에서 조계종이 300억원을 보전해주면 매표소를 이동하거나 문화재관람료를 폐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정부는 국고보조금 또한 지원해 줄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시민환경단체들은 △문화재관람료는 문화재를 관람하는 사람에게만 징수하라 △문화재관람료는 문화재의 보수와 관리에만 사용하라 △조계종은 무원칙한 국고지원 요구를 철회하라 △조계종은 문화재관람료 문제를 정략적으로 악용 말고, 성실히 협의하라 등을 요구했다.

또 △불합리한 위치에서 징수하는 문화재 관람료 징수를 거부한다 △문화재관람료 산정 내역과 집행 결과를 공개토록 요구한다 △문화재관람료를 징수 당했을 때는 해당문화재(불화, 범종, 천연기념물)의 공개를 요구하고, 관리 내역을 요구한다 △사찰의 토지 소유권 주장을 반박한다 △사찰 부지의 국립공원 해제 요구 등 상식 없는 주장에 대해 규탄한다 △다른 박물관이나 관람료와 비교해서 저렴하다는 주장을 반박한다 △다른 탐방객들과 함께 단체로 입장하며, 관람료징수 의사를 더욱 강력하게 밝힌다 등을 시민행동 지침으로 내렸다.

시민환경단체들은 △문화재관람료 거부운동을 전국으로 확산한다 △문화재관람료 부당 징수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전국의 주요 사찰지역에서 시민과 함께 대규모 징수 거부 캠페인을 전개한다 △문화재관람료 부당징수 거부 시민대책위 확대 구성한다 △‘문화재보호법 44조 1항’의 철폐를 위한 위헌 소송 및 법률개정 운동을 전개한다 △문화재 관람료 산정 내역 및 이용 실태에 대한 정보공개를 요구한다.(7월 중) △국립공원을 방문하는 시민들과 함께 무분별한 훼손으로 신음 받는 국립공원을 보존하는 환경운동을 병행한다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후 실태와 개선 방안마련을 위해 노력한다(토론회 개최,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환경연합 공동주최) 등을 향후 계획으로 내놓았다.
남동우 기자 | dwnam@buddhapia.com
2007-07-10 오후 1:13: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8.2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