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날의 우리에게 해탈과 구원은 어떤 의미일까?
불교와 기독교의 지향점이라 할 수 있는 ‘해탈’과 ‘구원’의 참뜻과 우리네 삶 속에서 이 지향점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모색해 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교수불자연합회(회장 김용표)와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회장 이종오)는 4월 27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실에서 ‘구원과 해탈’을 주제로 제2회 ‘기독교-불교 교수 공동학술회의’를 열었다.
주제발표는 ‘구원’과 ‘해탈’의 정의를 내려 보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찬수 종교문화연구원장은 ‘구원, 오늘 우리의’라는 발표에서 “구원은 나라는 존재가 이미 ‘너’와의 관계성 속에 있음을 통찰하는데서 시작된다”고 지적했다. ‘하느님에 의해 이끌어진다’는 점에서 구원은 자력적이라기 보다 근원적으로 타력적이지만, 자력이라는 것 역시 ‘타(他)’라고 하는 관계성 안에서 주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 원장은 “구원이란 하느님 안에서 하느님을 근거로 살아가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하느님과의 근원적 관계성을 회복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 ||||
‘열반’의 의미는 이민용 참여불교연대 공동대표가 짚어봤다. 이 대표는 “열반이 종교적 오메가로 부각된 것은 서구 기독교적 발상”이라며 “열반은 현실의 고통, 인간적 한계 상황을 벗어나는 일이라는 이원록적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열반의 한계가 윤회이고 윤회의 한계가 열반이며 이 두 사이에는 아무 것도 없다고 주장한 용수의 이론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구원과 해탈의 사회적 의의는 무엇일까?
이명권 코리아아쉬람 대표는 “구원의 결과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일이며, 해탈의 결과는 깨달음을 실천하는 길, 곧 보시(布施)의 실천”이라고 말했다. 최종석 교수는 “구원과 해탈은 곧 의인(義人)과 보살의 삶을 드러내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곧 생태적 삶을 실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교수불자연합회와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한 공동학술회의에는 100여 명의 교수와 연구자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