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자정센터는 1월 9일 발표한 논평문에서 “명징한 사태해결을 위해서 신뢰할 만한 ‘제3의 조사기구’ 구성이 선결되어야 한다”며 “총무원, 중앙종회, 출ㆍ재가 불교단체 등 범 종단으로 조사 기구를 구성해 의혹을 한 점 남김없이 엄정하게 조사해야 종단 구성원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교단자정센터는 또 “종단의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방지할 제도개선방안도 함께 수립돼야 할 것”이라며 “총무원은 먼저 사부대중의 의견을 수렴해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를 얻기 위한 조치부터 취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다음은 논평문 전문.
교구본사 주지가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되는 초유의 사태를 보면서 불자들의 심정은 착잡하기 이를 데 없다. 종단은 이 문제를 사회법의 판결 여부와 상관없이 자체 조사하여 엄중히 다루어야 한다. 유사한 소문이 끊이지 않았던 점을 보았을 때, 마곡사 문제는 불교계의 자정능력과 의지를 시험하는 중대한 시금석이 될 것이다.
총무원 호법부가 늦게나마 조사 의지를 언급한 점은 환영할만 하다. 그러나 그것이 교단 안팎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미 지난해 6월 지역 스님들의 진정을 묵살한 바 있고, 2002년부터 문제가 불거졌음에도 불구하고 사정기관인 호법부가 이 문제를 사실상 눈감아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명징한 사태해결을 위해서 신뢰할 만한 ‘제3의 조사기구’ 구성이 선결되어야 한다. 총무원, 중앙종회, 출ㆍ재가 불교단체 등 범 종단으로 조사기구를 구성하여 의혹을 한 점 남김없이 엄정하게 조사하여야 종단 구성원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기구의 구성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조사대책위원회’의 전례를 참고삼으면 될 것이다. 아울러 종단의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방지할 제도개선방안도 함께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못해 조사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면, 총무원은 먼저 사부대중의 의견을 수렴하여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를 얻기 위한 조치부터 취해야 할 것이다. 본 ‘자정센터’는 향후 자정의 실질적 결과가 나타날 때까지 교단내외의 모든 단체와 함께 노력할 것입니다. 불기2551(서기2007)년 1월 9일 참여불교재가연대 교단자정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