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3.8 (음)
> 종합 > 기관·단체
교단자정센터, 마곡사 관련 ‘제3의 조사기구’ 구성 제안
공주 마곡사 사태와 관련해 참여불교재가연대 교단자정센터(원장 김희욱)가 ‘제3의 조사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교단자정센터는 1월 9일 발표한 논평문에서 “명징한 사태해결을 위해서 신뢰할 만한 ‘제3의 조사기구’ 구성이 선결되어야 한다”며 “총무원, 중앙종회, 출ㆍ재가 불교단체 등 범 종단으로 조사 기구를 구성해 의혹을 한 점 남김없이 엄정하게 조사해야 종단 구성원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교단자정센터는 또 “종단의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방지할 제도개선방안도 함께 수립돼야 할 것”이라며 “총무원은 먼저 사부대중의 의견을 수렴해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를 얻기 위한 조치부터 취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다음은 논평문 전문.

마곡사 사태「제 3의 조사기구」구성을 제안하며
교구본사 주지가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되는 초유의 사태를 보면서 불자들의 심정은 착잡하기 이를 데 없다. 종단은 이 문제를 사회법의 판결 여부와 상관없이 자체 조사하여 엄중히 다루어야 한다. 유사한 소문이 끊이지 않았던 점을 보았을 때, 마곡사 문제는 불교계의 자정능력과 의지를 시험하는 중대한 시금석이 될 것이다.

총무원 호법부가 늦게나마 조사 의지를 언급한 점은 환영할만 하다. 그러나 그것이 교단 안팎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미 지난해 6월 지역 스님들의 진정을 묵살한 바 있고, 2002년부터 문제가 불거졌음에도 불구하고 사정기관인 호법부가 이 문제를 사실상 눈감아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명징한 사태해결을 위해서 신뢰할 만한 ‘제3의 조사기구’ 구성이 선결되어야 한다. 총무원, 중앙종회, 출ㆍ재가 불교단체 등 범 종단으로 조사기구를 구성하여 의혹을 한 점 남김없이 엄정하게 조사하여야 종단 구성원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기구의 구성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조사대책위원회’의 전례를 참고삼으면 될 것이다. 아울러 종단의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방지할 제도개선방안도 함께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못해 조사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면, 총무원은 먼저 사부대중의 의견을 수렴하여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를 얻기 위한 조치부터 취해야 할 것이다. 본 ‘자정센터’는 향후 자정의 실질적 결과가 나타날 때까지 교단내외의 모든 단체와 함께 노력할 것입니다.


불기2551(서기2007)년 1월 9일

참여불교재가연대 교단자정센터


남동우 기자 | dwnam@buddhapia.com
2007-01-10 오전 10:46: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4.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