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그동안 <현대불교>은 한국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비록 12년이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많은 일들을 해냈다.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구축한 인프라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를 사장시킨다는 것은 한국불교계의 크나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특히 <현대불교>은 종단을 초월하여 범불교적 입장에서 기사를 다룬 유일한 매체였다. 따라서 <현대불교>가 문을 닫는다면, 몇 개의 본사급 사찰이 문을 닫는 것보다 더 큰 손실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어떻게 해서든 <현대불교>의 폐간만은 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불행 중 다행한 일은 1년 전 인수해 갔던 <불교평론>은 다시 창간 멤버들에게 넘겨주었기 때문에 계속 발행된다고 한다. 하지만 <현대불교>은 제삼자에게 인계하거나 양도할 의사도 없이 일방적으로 폐간하겠다고 한다. 이것은 독자들을 완전히 무시한 경영주의 독단이 아닐 수 없다. 한 사람의 독자로서 지금 즉시 폐간을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언론은 사회의 공기(公器)이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폐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물론 법적으로는 하자가 없겠지만, 독자들과의 약속을 저버린 배신행위가 아닐 수 없다. 이것은 독자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처사임은 말할 나위없다. 언론은 무엇보다도 먼저 독자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만 한다. 신문은 경영주가 발행하고 싶지 않다고 해서 쉽게 폐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언론도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신문은 단순히 기업적 차원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다른 일반 상점은 영업이 잘 되지 않으면 폐점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신문은 탄생과 동시 독자와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이제<현대불교>가 최소한 계속적으로 발행될 수 있도록 배려해 주는 것이 경영주가 할 마지막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회생의 기회마저 제공해 주지 않고 일방적으로 폐간하겠다는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일이다. 경영주가 신문을 제삼자에게 인계하지 않고 폐간하겠다는 것은 부모가 사업에 실패하여 살기 어렵다고 해서 자식들과 함께 동반 자살을 하겠다는 것과 같다. 부모라고 해서 자식을 죽일 권한은 없다. 자식일지라도 이 땅에 태어나면서부터 고유한 생명을 부여받았다. 내가 낳은 자식이니까 내 마음대로 하겠다는 것은 참으로 잘못된 생각이다. 부모가 죽는다고 따라 죽을 수는 없는 것이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한마음 선원이 문을 닫는다고 해서 <현대불교>까지 따라 문을 닫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신문은 한마음 선원의 소유가 아니라 독자들의 것이기 때문이다.
한때 설창수(薛昌洙, 1916-1998) 선생은 경남 진주에서 발행되고 있던 경남일보가 제5공화국의 언론 통폐합으로 인해 1980년 11월 25일 폐간될 때, 국민의 귀와 눈을 막는 행위라고 강력히 비판하고, 통곡하였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그 뒤 경남일보는 지령 9342호로 폐간되고, 경남신문에 흡수, 통합되었다. 지나간 한국언론사의 한 단면이다.
또한 지난 2004년 11월 12일에는 대한불교신문이 지령 631호를 끝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 부산 선암사와 관련된 광고 게재가 사건의 발단이었다. 어떤 내부적 사정에 의한 것이든 우리 불교계로서는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 때도 필자는 어떤 일이 있어도 대한불교신문은 계속 발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왜냐하면 불교 신문 한 장은 한 사람의 포교사를 대신하기 때문이다.
이제 <현대불교>마저 폐간된다면 한국불교계의 언론 현실은 참담해 질 수밖에 없다. 참으로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어떤 형태로든 <현대불교>가 계속적으로 발행될 수 있도록 조치해 줄 의무가 경영진에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만일 이러한 독자들의 요구에도 불응하고 끝내 신문을 폐간한다면, 역사에 큰 오점을 남기게 될 것이다. 그러면 한마음 선원이 이룩한 업적도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 것이다.
끝으로 <현대불교>의 전 직원과 독자들을 생각하여 <현대불교>가 계속적으로 발행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조치를 취해 주기를 당부한다.
현대불교신문비상대책위원회는 현대불교살리기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현대불교신문이 지속적으로 발행돼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동참하실 분들은 전화, 팩스, 인터넷 등을 통해 성명과 소속, 동참 의사를 밝혀주시면 됩니다.
전화 (02)2004-8249 / *구독신청은 (02)2004-8211~2 E-mail: soudelor@hanmail.net 다음카페 cafe.daum.net/hbcenter fax. (02)737-06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