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6 (음)
> 종합 > 사람들 > 부고
조계종 중앙신도회 박충일 고문 별세
조계종 중앙신도회 박충일 고문이 11월 1일 오전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장례식장은 현대아산병원 영안실 35호실이며, 발인은 11월 5일 오전 5시. 영결식은 경기도 파주 신흥인쇄 본사에서 열린다.
1935년 출생한 박 고문은 범국민직지회장 등을 역임하며 ‘직지’ 사랑을 펼쳐왔다. 또 신흥인쇄 대표이사, 대한인쇄문화협회 회장, 불광사 신도회장 등을 맡으며 불교계 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했다. (02)3010-2295

다음은 본지 491호(2004년 9월 15일자) ''도반의 향기''에 실린 고인 관련 기사.
故 박충일 고문
“문화의 원류는 인쇄문화이며, 인쇄문화의 종주국은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하 직지>를 만든 대한민국입니다. <직지> 찾기는 인쇄문화 종주국으로서의 자존심을 되살리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직지>의 계승자를 자임하며, <직지>찾기 운동을 활발히 주도하고 범국민직지회 박충일(신흥인쇄소·71) 회장. 40년간 인쇄인으로 살아온 그는 현재 대한인쇄정보기술협회 회장으로 우리나라 인쇄산업계를 이끌고 있는 수장(首長)이다.
“1988년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에서 <개화기 연활자 도입이 언론에 미친 영향 연구>를 석사논문으로 제출했지요.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납 활자로 인쇄한 독립신문이 주제였는데, 훗날 <직지>의 존재를 알게 되고 제가 일본을 인쇄 종주국인 양 논문을 썼다는 생각에 몹시 부끄러웠습니다. 그 일을 계기로 <직지>를 찾아 우리나라가 인쇄 종주국임을 만천하에 알리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런 원(願)을 품은 박 회장은 ‘청주 직지찾기운동본부’, 대한인쇄정보기술협회 등과 더불어 프랑스에 있는 ‘<직지> 반환운동’, 국내 어딘가에 있을지 모르는 ‘<직지> 찾기 운동’을 벌였다. 각종 세계 인쇄기자재 전시회에서 <직지> 반환을 요구하는 시위를 했고, 유네스코에는 <직지> 반환 요청 및 세계기록유산 등재 등을 건의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노력 덕분이었을까. 2001년에는 <직지>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기에 이른다.
박 회장이 <직지>에 강한 애착을 갖게 된 것은 최고(最古)의 금속활자 ‘인쇄물’이라는 사실 말고도 한 가지 더 있다. 선(禪)의 요체를 담은 <직지>는 불서(佛書)라는 것. 신심 돈독한 불자인 그에게 <직지>는 인쇄물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박 회장의 인생을 들여다보면 그의 자리는 늘 ‘불교’와 ‘인쇄’가 만나는 그곳이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동국대 졸업 후 처음 사회생활을 시작한 곳이 동국대학교 내 인쇄소였으며, 그곳에서 처음 발간한 책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의 <불교학보 1집>(1963)이었다. 65년부터는 독립해서 차린 신흥인쇄소에서 <불교학보>를 인쇄, 40집까지 도맡아 제작했다. 동국대의 <고려대장경 영인본>, <석보상절 영인본> 등도 모두 박 회장의 손을 거쳤다.
60년대 초반 광덕 스님의 법문을 듣고 “그 말씀을 흘려보내기 아까워 스님께 책으로 만들어 배포하자고 제안”했다. 광덕 스님은 “한 권의 책은 법사와 같다”며 이를 받아들였는데, 이때 탄생한 것이 <불광>지다. 이후로 박 회장은 불광법회 회장을 맡아 8년간 신도회 조직화에 힘쓰는 등, 불법과의 인연을 넓혀갔다. 아내 양문정(71) 씨 또한 20여 년간 ‘명등보살’로 강남구의 신도조직을 이끌며 박 회장과 보조를 맞췄다.
“광덕 스님께서 법회 때마다 대중들과 함께 다짐한 ‘전법오서(傳法五誓)’라는 것이 있습니다. 법을 전하는 것이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서원인데, <불광>지야 말로 저 같은 인쇄인이 할 수 있는 최적의 ‘전법’이었던 셈입니다.”
박 회장의 ‘전법’은 이것뿐이 아니다. 그는 1972년 언론 탄압정책으로부터 당시 유일한 불교계 신문이었던 <대한불교신문>을 지켜낸 장본인이기도 하다. 당시 정부는 인쇄시설을 갖추지 않은 신문사는 폐간하도록 해, 인쇄시설이 없던 <대한불교신문>이 폐간 위기에 처한 것. 이때 박 회장은 자신의 인쇄소의 간판을 ‘대한불교신문사 공무국’으로 바꿔달았고, <대한불교신문>은 폐간 위기를 넘겼다. 이로 인한 박 회장의 피해는 막심했다. “기독교 신자인 직원들은 새로 단 간판이 보기 싫다고 줄줄이 그만뒀고, 기독교 계통 거래처들도 등을 돌렸습니다. 정부관련 인쇄물 입찰 자격도 상실했지요.” 그런 어려움을 박 회장은 불심으로 이겨냈고, 신흥인쇄소는 다시 번창할 수 있었다.
지난 9월 4일. 서울 인쇄정보센터에서 대한인쇄정보기술협회 주최로 ‘직지 탄생일 선포식’이 열렸다. 현재 프랑스에 남아 있는 <직지>의 간기(刊記)에는 ‘宣光七年丁巳七月 日’로, 날짜가 공란으로 돼 있어 제작일을 알 수 없음을 안타까워한 박 회장을 포함한 인쇄인들이 학계의 자문을 받아 당시 7월 백중에 해당하는 8월 19일을 <직지> 탄생일로 선포한 것이다.
“우리 인쇄문화의 발전을 주도한 것은 불교였습니다. 그 사실은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 인쇄물인 <직지> 등이 말해줍니다.”
그러나 선조가 빛낸 인쇄 문화와 대비할 때, 오늘날 우리의 인쇄기술의 위상은 초라해 부끄럽다고 박 회장은 고백한다. 윤전기 생산 능력이 없어서 45억이나 하는 윤전기를 수입해야 하고, 인쇄 관련 수입액이 수출액을 초과하는 것이 현실이다.
“<직지>는 우리의 뿌리에 관한 문제요, 인쇄기술발전은 우리의 미래가 걸린 문제이므로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해선 안 됩니다. 두 과제를 성취해야만 우리는 비로소 <직지>의 참된 계승자라고 자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글=박익순 기자 ·사진=고영배 기자

남동우 기자 | dwnam@buddhapia.com
2006-11-02 오전 9:14: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