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단체는 성명서를 통해 "종단은 (국고금 횡령사건과 교구본사 주지선거 등) 일련의 사태에 대해 안일한 대처로 시종일관하여 화를 자초했다"며 "총무원장스님은 종단의 대 흐름을 권력지향에서 수행과 포교 그리고 도덕성의 회복으로 궤도 수정함에 앞장서야 하며, 종단 혁신차원에서 제14대 중앙종회의원의 선출부터 청정 선거를 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불청과 불교환경연대는 또 "중대 범죄의 경우도 야간의 압수 수색은 피하고 가능한 그 집행을 주간에 하는데도, 검찰의 야간 압수수색은 정당한 법집행을 떠나 1600년 역사의 불교에 대한 공권력을 앞세운 훼불(毁法) 폐불(廢佛) 멸불(滅佛)의 시도와 1500만 불자를 우롱함과 다름 아니다"며 "종단은 정부에 강력한 항의와 더불어 최고 책임자는 물론 관련자들을 엄중 문책케 하여 재발방지를 반드시 이끌어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
국가 공권력에 의해 자행되는 삼보의 침탈에 무능과 무책임한 종단은 즉각 발로참회 하라!
귀의삼보하오며. 1600년 역사의 우리불교는 이 땅의 뭇 생명들에게 참다운 삶을 일깨우고자 대승보살의 행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러나 과거 정치적 법난에 이어 오늘에 이르러서는 집행부의 무능과 혁신의 실패로 내우외환을 자초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군사독재의 종식점에서 10.27법난이라는 치욕과 94년도 개혁회의의 홍역을 경험하면서도 세상을 바라보는 안일한 시각으로 종단의 기능을 마비시키고 청정성 회복에 실패 했다. 종단 직위 고하를 막론하고 무능과 도덕성 불감증의 심화는 부정과 부패를 가속하여 급기야는 신성한 도량이 일개 수사의 대상으로 전락하는 처지에 이르렀다. 권력 암투에 정신 팔린 조계종단 본사 주지들이 국고금 횡령으로 수사 대상에 오르더니 마침내 제6교구본사가 검찰에 의해 야간에 압수수색을 당했다. 이번 마곡사사태는 예견된 사건으로 이미 몇 년 전 부터 불거져서 지난번 주지 선거후 그 격돌이 심화 되었다. 그렇다면 집행부는 이러한 일련의 사태에 대해 그 심각성을 깊게 인식하고 원칙에 입각한 빠른 조치와 더불어 종단 개혁 제일의제로 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일한 대처로 시종일관하여 화를 자초했다. 총무원 집행부는 종단의 악재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의지가 없기에 지난 인사에서도 개혁성향의 전문적 인물은 고사하고 오히려 문제가 제기된 인물을 기용했다. 민족의 장래가 걸린 북한 핵 개발의 대처에서 조차 졸속을 못 벗어나고 있다. 당장 제14대 중앙종회의원선거부터 개혁의지를 천명해야 한다 총무원장스님은 종단의 최고 수장으로서 불자와 미래의 희망인 청소년 불자가 날로 감소하는 불행한 현실을 조금이나마 인식한다면 종단의 대 흐름을 권력지향에서 수행과 포교 그리고 도덕성의 회복으로 궤도 수정함에 앞장서야 한다. 종단 혁신차원에서 제14대 중앙종회의원의 선출부터 원장스님의 직책을 담보하고 청정 선거를 천명해야 한다. 종단의 모든 사정기관을 동원하여 부정선거에 대한 엄벌과 낙선을 예고해야 한다. 간선의원의 선출역시 정치적 배분을 지양하고 객관적 유자격자에 대한 선발을 천명해야 한다. 종단의 부패를 방기하고 개혁을 미룬다면 마곡사가 아닌 종정예하가 계신 도량이나 총무원장실을 강제 압수수색 당하는 날이 없을 것이라는 보장은 결코 아무도 할 수 없다 대정부 강력한 항의로 재발 방지를 약속받아야 한다. 이제 부터라도 종단은 마곡사 문제 등 그간 제기된 모든 호법 대상에 대하여 종단 개혁차원에서 치우침 없는 원칙 조사로서 조치해야 한다. 검찰의 이번 야간 압수수색은 정당한 법집행을 떠나 1600년 역사의 불교에 대한 공권력을 앞세운 훼불(毁法) 폐불(廢佛) 멸불(滅佛)의 시도와 1500만 불자를 우롱함과 다름 아니다. 중대 범죄의 경우도 야간의 압수 수색은 피하고 가능한 그 집행을 주간에 한다. 정부에 강력한 항의와 더불어 최고 책임자는 물론 관련자들을 엄중 문책케 하여 재발방지를 반드시 이끌어내야 한다. 불기 2550(2006)년 10월 16일 대한불교청년회ㆍ불교환경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