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6 (음)
> 문화 > 학술·문화재
<대승기신론소>보다 60년 앞선 最古 저술 日서 발견
목포대 최연식 교수 논문 통해 주장
‘우리나라 최고(最古) 문헌으로 알려진 원효의 <대승기신론소>보다 60년 앞서 저술된 불서의 필사본이 일본 교토대 도서관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백제의 승려 혜균이 600년 경에 백제 지방에서 저술한 <대승사론현의기>가 그것이다.
2000년도에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목간. 보희사라는 절이름이 잘 보이도록 처리해 촬영한 사진

목포대 역사문화학부 최연식 교수는 최근 논문 ‘<대승사론현의기>의 찬술지역과 찬자에 대한 재검토’를 발표했다. 최 교수는 “<대승사론현의기>의 저자는 백제의 승려 혜균이 확실하는 증거를 고증했으며 불교 삼론학의 개론서인 이 책은 7세기 중후반 저술된 원효의 <대승기신론소>보다 60여년 가량 앞서 저술됐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혜균이 백제 승려라는 결정적 증거로 이 문헌에 나오는 절 이름 ‘보희사(寶熹寺)’가 2000년도에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목간(木簡)에 기록된 ‘보희사(寶熹寺)’와 일치한다는 점을 들었다.
최 교수는 “<대승사론현의기>의 내용 중 ‘현재 이곳의 보희연사(寶熹淵師)…’에서의 ‘현재 이곳’이란 편찬 지역을 의미하고 보희연사는 백제 보희사의 연사 스님을 지칭한다”며 “2000년도 능산리에서 발견된 목간의 판독에서 보희사는 백제의 사찰임이 증명됐기 때문에 ‘현재 이곳’은 백제가 확실하다”고 주장했다.
최 교수는 또 “<대승사론현의기>가 원효의 <대승기신론소>보다 60년 앞선 600년 경에 저술됐다는 주장에 대해 ‘중국 삼론종 중흥의 시조’ 길장(549~623)의 <대승현론>이 내용상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를 의식하며 편찬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교토대 도서관에 소장된 <대승사론현의기> 필사본.

길장의 <대승현론>의 내용 중에는 이미 혜균이 <대승사론현의기>에서 서술한 개념들이 중첩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승사론현의기>이 600년 경에 저술됐다는 결정적 증거는 이 문헌의 내용에도 들어 있다. 문헌에서는 ‘길장이 장안으로 간 599년이 기록돼 있고 일본 승려가 일본 왕에게 <대승사론현의기>의 필사본을 바친 해가 658년이다’라고 명기돼 있다. 따라서 이 문헌의 저술시기는 599년과 658년 사이가 된다는 것이 최 교수의 주장이다.
삼국시대 이전 책으로 편찬된 우리 문헌이 사실상 전해지지 않는 현실을 감안할 때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 필사본의 발견은 한국의 사상사 연구 등에서 엄청난 의미를 가진다.
동국대 김성철 교수는 “최 교수의 논문을 검토한 결과 <대승사론현의기>는 600년 경에 저술된 백제의 불교문헌으로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문헌이 확실하다”며 “이로써 7세기 초 백제 불교계의 동향 및 6세기 중국 삼론학의 초기적 모습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연식 교수
또 <대승사론현의기>의 저자가 혜균이 ‘백제 승려인지 일본 승려인지 중국 승려인지’를 놓고 의견이 많았으나 이번 논문을 통해 혜균은 6세기 후반 남중국의 진나라에 유학하여 삼론학의 이론체계를 수립한 법랑의 문하에서 수학하 후에 백제로 돌아와 백제에 삼론학을 전파한 백제의 승려’로 밝혀진 것도 큰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삼론학의 사상을 담고 있는 <대승사론현의기>를 통해 고구려, 백제 및 그 영향을 받은 고대일본 불교계의 중심사상인 삼론학 연구도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연식 교수와 독일 보쿰대 한국학과 플라센 교수의 연구성과는 10월 20일 서울대우빌딩 8층 세미나실에서 열리는 한국사연구회와 목포대 공동 주관의 세미나 ‘백제 승려 혜균과 <대승사론현의기>의 재발견’을 통해 학회에 정식 발표된다.
노병철 기자 | sasiman@buddhapia.com
2006-10-16 오전 11:50: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