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들이 찾아갔을때 며칠 묵어가도 괜찮은 암자 27곳이 책으로 묶여져 나왔다.
불교신문 안직수 기자가 펴낸 <암자를 찾아서>는 복잡하고 답답한 콘크리트 더미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을 내려 놓고 쉴 수 있는 곳, 자신을 되돌아보고 참나를 찾을 수 있는 곳, 근심 걱정 훌훌 털어 버리고 스님과 차 한잔 마실 수 있는 곳들을 담고 있다.
![]() | ![]() | |||
| ||||
![]() | ![]() |
안 기자는 이책을 발간하기 위해 먼저 전통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100여곳의 암자를 추렸다. 이 중에서 책에 소개된 27개 암자는 ‘누구나 찾아와도 하룻밤 묵어갈 수 있는지’에 대해 일일이 전화로 확인한 뒤 ‘지치고 힘든 사람들에게 기꺼이 방을 내주겠다’ 마음을 낸 스님이 주석하는 곳이다.
대표적인 사찰은 호남 제일의 비경 규봉암, 지리산의 소금강 구례 사성암, 바위병풍이 위용인 창년 법화사, 속리산 절경이 한 눈에 잡히는 중사자암, 대웅전에 부처님이 안모셔진 천안 성불사, 오세암의 촬영지 제천 정방사, 조선조 왕족의 애환이 서린 성남 만경암등이다. 이 책에는 어떤 규제나 속박이 없는 암자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 | ![]() | |||
| ||||
![]() | ![]() |
암자는 보통 암주 혼자 주석하는 경우가 많고, 규모가 작아서 객들에게 내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그런만큼 암자를 찾을 때는 스스로 마음을 내고, 마음으로 암자와 인연을 맺 것이 필요하다.
욕심을 버리고 암자를 찾으면 너무도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스님과 차 한잔 마주하며 법담을 들을 수 있고, 목탁소리 풍경소리 들으며 경내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암자 뒷산 산책까지 할 수 있는 특혜가 주어진다.
이밖에도 주5일제를 맞아 주말여행으로 다녀올 수 있는 암자를 소개하고, 찾아가는 길과 암자주변의 둘러볼 만한 곳에 대한 안내까지 빼놓지 않고 있다. 부록에는 템플스테이 운영사찰 홈페이지와 주소, 전화번호도 함께 소개한다.
암자를 찾아서
안직수 지음
운주사|1만1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