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18 (음)
> 종합
'청정승가를 위한 대중공사(가칭)'결성 될 듯
8일 대구 관오사에서 출범 논의
도법 스님을 중심으로 한 조계종 소장파 스님들의 모임인 '청정승가를 위한 대중공사(가칭, 이하 대중공사)'가 결성 될 전망이다.

조계종 소장파 스님들은 3월 8일 오후 6시 대구 관오사에서 모임을 갖고 종단 현안에 대한 대안마련을 모색하는 '청정승가를 위한 대중공사(가칭)'출범을 논의했다.

대중공사는 이날 모임에는 도법 금강 성전 지도 진오 종호 혜안 대안 하림 동출 종선 수완 만초(무순) 스님 등 40대 전후의 종단 소장파 스님들이 참석했다.

대중공사의 한 관계자는 "참석한 스님들은 종단 현안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않았으며, 앞으로 수차례 더 주비모임을 갖고 모임의 진로를 모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참석한 일부 스님들은 최근 멸빈자 사면문제와 관련해 자신들의 입장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 했다.


다음은 수완 지인 대안 성전 혜안 진오 하림 스님 명의의 성명서 전문.


청정 화합을 위해 종헌 종법은 존중 되어야 합니다
귀의 삼보하옵고 두 손을 모읍니다.
종단화합을 위해 징계자 문제를 해결해야한다는 종정예하 원로위원 총무원장 종회의원 본사 주지등 대덕 스님들의 거룩한 뜻을 진심으로 존중하고 환영합니다.
하지만 98년 종헌 종법 수호를 위한 승려대회정신으로 볼 때 징계자 문제는 반드시 대중적 합의를 통한 종헌 종법 질서에 따라 정리 되어야만 합니다.
만일 그렇지 않고 정치논리와 힘으로 강행할 경우 종단화합은 요원한 것이 되고 말 것입니다. 오히려 일상적이고 장기적인 혼란과 불화의 원인이 되고 말 것입니다.
징계 받은 당사자를 위해 또는 종단 화합을 위해 종헌 종법에 근거한 사면이 이루어 져야만 합니다. 이것만이 종단 화합을 지켜가는 길이라고 믿습니다.
화합에는 원칙이 있어야만 합니다. 교법과 율의에 맞고 대중의 합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다시 종헌 종법에 근거하고 대중의 공의에 의해서만 청정화합은 가능하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승가의 청정화합을 원하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사면 논의나 절차는 자칫 이러한 화합 기준을 외면한 채 진행 되고 있다는 불안감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한번 화합의 원칙이 깨어지면 우리 승가의 교법과 율의 또한 무너진다는 사실에 대해 우리는 우려를 거둘 수가 없습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들의 정체성과 관계 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사면을 반대하지는 않습니다. 그것이 다만 종헌 종법에 따라 여법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랄 뿐입니다.
저희들의 이러한 간곡한 뜻이 다만 저희 몇 만의 뜻이라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수많은 종도들 역시 저희들의 이러한 뜻과 함께 하고 있다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종헌 종법이 살아 있는 종단, 대중의 공의를 받드는 종단의 모습을 우리는 이번 사면의 과정 속에서 실현되기를 앙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사면의 모든 과정을 원칙에 근거해 지켜볼 것입니다.

수완 지인 대안 성전 혜안 진오 하림
조용수 기자 | pressphoto1@hanmail.net
2006-03-09 오후 2:03:00
 
한마디
꼬봉이 주인도 못 알아 보고 날뛰다니. 성격이 과격하신 모양이네요. 우리는 수신 잘 하고 있는데, 쓸데없는 성명서 발표하시는 분들이나 수신하심이 어떨련지요. 잘 잘못을 따지기 이전에 수신이 필요하신 분들이 아닌가 싶습니다. 모두 불교와 종단을 위하는 마음으로 성명서도 발표하셨겠지만, 흑백논리는 승가와 맞지 않아요. 한번 쯤 상대에게 진다고 해서 세상이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여러분들이 종단을 생각하는 마음이 손상되는 것도 아니구요. 언제나 내 주장이 옳고 내가 생각한 것을 관철해야 된다고 생각하기 보다 너그러운 마음으로 화합하는 것도 보여 주세요. 그리고 끝으로 우리는 누구의 편도 아니거던요. 그러니 오해는 하지 마세요. 사실 우리는 종단 정치에는 조금의 관심도 없고 아무 이권에 관여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그냥 지나다가 기사를 읽고 한 말씀 드립니다.
(2006-03-10 오후 8:02:48)
24
그저 틈만 나면 남들을 헐ㄸ드지 못해 애를 쓰는 너희를 보면서 내 하도 안타까워서 옥황상제가 알기전에 미리 언질을 주노니 옥씨가 알고 불벼락을 떨구기 전에 이 옥황상제를 부리는 큰 할아버지가 타이를 때 잘 듣거라. 그 방정맞은 입을 닥치거라! 그러면 아무일 없을 것이다.
(2006-03-10 오후 6:02:05)
27
에그~ 이런 사람들하구는... 아 이것들아 잘 잘못도 모르는 채 무슨놈의 주둥이질이더냐! 사천왕하고 또다른 이름 어쩌구들! 너희들 같은 자가 잇어서 말이 많아지게 되는 것인줄을 알라! 너희만 입 다물고 잇으면 다 잘 될 것이니 수신이라도 잘하고 자내기 바란다.'알긋냐? 제똥이 구린줄을 모르고서 젊잖은 체 하기는... 모자라는 것들!
(2006-03-10 오후 5:59:26)
22
'또다른이름의' 글을 남기신 분, 날카로운 지적을 하셨군요. 정말 공감합니다. 귀하같은 분이 한국불교계에 계신다니 사천왕을 만난 기분입니다.
(2006-03-10 오후 1:08:16)
21
태국불교도 이렇게 썩지는 않았다.한국불교는 마구니들의 무대인가?말세에 마군이 승복을 입고 파불한다는 설.멸빈자는 한국을 떠나라
(2006-03-10 오후 12:41:45)
23
또 다른 이름의 정치 모임이 아니기를 바란다. 젊은 승가는 더 이상 기존의 승가에 의해 좌지우지되어서는 안되며, 사면의 문제는 바로 기존 승려들의 이권관계이다. 부처님은 행위의 의도가 중요하다고 말씀하셨다. 이긴자가 언제나 옳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겠지만, 지난 날의 종단분규는 어느 편이나 다 문제가 있었음은 사실이다. 이런 일에 왈가불가할 젊은 승가라면 단체를 만들 이유가 없다. 제발 불교의 앞날을 걱정하는 젊은 승가가 되길 바란다. 종단에서 일어 나고 있는 일들은 정말 부수적인 것들이다. 못난 중생들이 못난 짓하는 것이 무슨 불교와 종단의 전체의 일인양 착각하지 말자. 그리고 도법스님이라는 분은 지극히 정치적인 분인가 보다. 뒷방정치를 하면서 늘 대중공사를 운운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모르겠다. 생태와 생명을 부르짓으면서 종단의 이권에 관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못 궁금하다. 진정 이 시대의 선지식이라면 젊은 승가가 바르게 가도록 인도해야 하며 이미 지난 일에 젊은 승가를 끌여 들여 같은 일은 반복하면서 시간 낭비하게 하지 말라. 본인들 일은 본인들이 해결할 일이다.
(2006-03-09 오후 4:45:37)
22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