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1월 8일, 동남아시아 쓰나미(지진해일) 피해 발생 1주기를 맞아 대구지역 스리랑카 노동자 50여명이 대구 관오사(주지 지도)에서 추모법회를 봉행했다.
50여명의 스리랑카 노동자 중 지난해 쓰나미 피해로 가족을 잃은 노동자는 7명. 산뜨스리, 소바나 스님의 집전으로 열린 추모법회는 추모법회는 스리랑카식으로 엄숙하고 진지하게 이어졌다.
염불의식과 스님의 법문이 끝나자 7명의 피해 노동자들은 빈 그릇에 물을 부으며 쓰나미로 희생된 가족들의 영혼이 이생에서의 죄를 씻고 맑게 떠올라 구제되기를 바라는 의식을 거행했다.
![]() | ![]() | |||
| ||||
![]() | ![]() |
이날 법회는 신년들어 처음 봉행되는 법회다. 스리랑카에서는 새해 첫날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인사를 하고 절을 찾아 스님께 예를 올리는 풍습이 있지만 이들은 새해 첫날이 되어도 부모형제에게 인사를 하지 못했다. 소바나 스님과 산뜨스리 스님은 이들에게 부모형제를 대신해 새해 첫 인사를 건네고, 용기를 주는 법문을 오래도록 했다.
또, 쓰나미 피해민 돕기에 적극 나서주고 1년동안 법회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준 한국사찰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회향하는 시간도 가졌다. 스리랑카 노동자들은 열악한 환경속에 한푼 두푼 모은 정성금을 모아 관오사 주지 지도 스님이 대표이사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법인 불교사회복지회 산하의 치매노인전문요양기관인 여래원에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두루마리 휴지를 보시했다.
![]() | ![]() | |||
| ||||
![]() | ![]() |
이날 여래원을 직접 방문한 스리랑카 노동자들은 어르신들의 건강도 살피고, 두루마리 휴지도 전달했다. 지난해 쓰나미 피해로 가족을 잃은 스리랑카 노동자들은 할머니들에게 직접 휴지를 전달하면서 먼저 세상을 뜬 가족의 명복을 빌었다.
비록 말은 서로 통하지 않지만 노인치매전문요양원의 어르신들과 외국인노동자들 사이에는 순수한 교류의 끈이 이어졌다. 한국에 온지 불과 석 달밖에 안된 니르마라(24)양은 할머니 손을 잡고 마냥 미소를 지었다. 할머니는 친손녀에게 어리광이라도 부리는 듯 “허리도 아프고 다리도 아프다”며 때를 썼다.
![]() | ![]() | |||
| ||||
![]() | ![]() |
지난해부터 매월 둘째 일요일마다 외국인노동자 법회를 진행하고 있는 관오사는 산하에 마하부다 대구보현의 집을 마련하고, 외국인 노동자들의 인권보호와 종교활동을 돕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작업이 한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