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6.11 (음)
> 종합 > 사람들 > 인터뷰
"현대불교신문과 군포교 후원 시스템 갖춰나갈 것"
조계종 군종교구 주지 일면 스님


일면 스님.
“전방지역에는 2명의 군법사가 15개가 넘는 군법당을 담당해야 하는 부대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군종병이 테이프를 틀어놓고 법회를 진행해야 합니다. 법당이 없어서 개조된 막사에서 군법사 없이 자체법회를 여는 곳도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이게 우리 군불교의 현실이에요.”

조계종 군종특별교구 주지 일면 스님에게 ‘군포교 활성화’는 가장 절실하고 시급한 현안이다. 기존의 군불교위원회를 군종교구로 발전시키면서 군포교에 새로운 희망이 싹트기 시작했지만, 군포교의 어려운 여건은 나아진게 없다. 군불교 활성화를 위해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는 불교계의 관심과 후원은 제자리걸음이기 때문이다.

2004년 국방부가 조사한 군 신자현황을 보면, 불교는 15만여명으로 28만명에 달하는 개신교 보다 13만명이나 적다. 이를 지도할 군종장교의 수에서는 더욱 열악해 불교는 개신교 276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136명에 머물러 있다. 종교시설로 따진다면 군불교의 열악한 여건은 극에 달한다. 지난해 11월 현재 군법당은 397곳으로 군교회 973개소의 40% 수준에 불과하다.

“현장에서 체감하는 ‘군불교 상황’은 외형적인 수치 보다 훨씬 좋지 않습니다. 군내 인력과 시설로 펼쳐지는 군포교 활동보다 군 외부에서 지원되는 인력과 재정 등의 요소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불교계의 지원은 다른 종교에 비해 턱없이 모자라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지난 한 해 동안 기독교 교단에서 군선교를 위해 투입한 재정은 기독교군선교연합회(개신교) 95억원, 가톨릭 군종교구청 33억원에 달했다. 반면 불교는 조계종에서 지원한 2억 4천만원이 전부. 수치상으로는 잡히지 않지만 군포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개별 사찰의 후원이 교회나 성당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점도 군포교 현장의 암울한 한 단면이다. “불교계의 외부 지원은 근래 개선된 점이 없지 않으나 여전히 개신교나 가톨릭에 비해 수적이든 질적이든 뒤쳐진다”는 군법사들의 볼멘소리는 이를 잘 보여준다.

일면 스님은 이 같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교구 출범과 함께 ‘군포교의 성공이 한국불교의 미래를 기약하는 희망’이라는 표어 아래 달라진 병영문화에 맞는 포교전략 구축과 군 장병 50% 불자화를 군종교구의 목표로 세웠다. 만인회 결성을 비롯해 후원 조직, 재원 조성 등 해결해야 할 선행과제도 선정했다. 본지와 함께 진행하는 ‘2006 군포교 합시다’ 캠페인도 군포교 활성화에 상당한 활력을 불어넣을 중요한 사업으로 꼽고 있다.

“군종교구는 2006년을 군포교 활성화의 원년으로 삼고 각오를 다지고 있습니다. 현대불교신문과 함께 전개할 ‘군포교 합시다’ 캠페인은 군대문화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효율적인 지원 시스템을 마련하는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입니다. 이 캠페인을 통해 군법당과 사찰, 기업이 다함께 힘을 모아 군포교 활성화를 위해 전력을 기울여 나가겠습니다.”
박봉영 기자 | bypark@buddhapia.com
2005-12-29 오후 2:00:00
 
한마디
1, 군법사 활동비(법회때 간식비, 근무자 위문 간식비 등)지원 예산 충당 및 확보가 당장에 해결할 사안입니다. 2, 민간인 지원봉사자(스님, 포교사, 신도 등)확보, 기존 지원봉사자 관리 및 예우에 관한 방안의 수립과 실행이 당장에 해결할 사안입니다. 3, 장병들의 신심고취와 실질적인 신행활동을 할 수 있는 법회운영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이 당장에 해결할 사안입니다.
(2005-12-30 오후 8:04:32)
50
포교는 뒷전이고 깨달음을 얻겠다고 하는 선중심 불교 종단에서 기독교한테 불교가 뒤지는 것 당연한 이치다. 깨달음도 좋지만 아무것도 불교에 대해 모르는 무지몽매한 중생들에게 쉬운 불교 가르침을 전하는 것이 훨씬 유익할텐데......
(2005-12-30 오전 5:08:42)
53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7.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