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7 (음)
> 오피니언
[기고] 드라마 속 홍가사 왜곡사례 많아


TV 드라마나 영화 또는 연극이나 뮤지컬 등에서 스님의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나오면서 가사의 고증에 관한 문제점이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태고종 사회부장 법현 스님
‘신돈’이라는 MBC 주말 드라마에서 주인공인 편조 스님(신돈)이 홍가사를 수하는데 머리를 기르고 다니더니 태고 보우 국사는 밤색가사를 수하게 해서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태고종 포교원장 무공 스님이 정식 이의서를 제출했다. 그것을 받아들인 MBC가 겨우 한 일은 태고 보우 스님이 밤색도 붉은 색도 아닌 어정쩡한 빛깔의 가사를 수하고 오게한 것. 신돈은 또 갑자기 밤색을 입고 나오고 있다.

또 12월 2일에 방영된 MBC의 ‘직지’라는 기획드라마도 직지심체요절을 지은 백운경한 스님과 묘덕이라는 여인(여승)의 사랑이야기를 끄집어냈다. 또 백운 스님의 가사를 밤색가사를 수하게 하더니 선암사와 필자의 이의제기에 역시 필름작업을 거쳐 어정쩡한 중간색 가사를 수하게 했다.

한국불교의 전통가사는 삼국시대부터 홍가사가 분명하다. 고구려시대에 홍가사를 수하고 있었음이 쌍영총의 고분벽화에 드러나고, 신라시대에는 자장율사, 원효대사, 의상대사 등의 영정 및 자장율사가 문수보살로부터 받았다는 석가여래의 가사 등에서 홍가사를 수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도 홍색가사가 많이 쓰였으며 일제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현재의 밤색 가사(장삼)는 1950년대에 조계종이 창종하면서 보조국사의 괴색가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일반화된 것이다.

덧붙여 가사를 드리우는 시간과 장소의 문제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한국불교에서는 참선, 강의 등을 하거나 공양, 법회, 예불을 올릴 때 법의를 걸쳤다. 그런데 드라마 속에서는 법회의식 등 뿐 아니라 외출을 할 때에는 가사를 드리운다. 심지어는 술을 마시거나 여인과 수작을 나눌 때에도 가사를 드리우고 나와서 문제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드라마 자문에 신중해야 한다. 잘못된 고증은 어느 한 종단만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를 왜곡시키고 결국 불교의 본 모습을 왜곡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드라마 제작자들도 계속 잘못을 저지르지 말고 제대로 아는 이, 아는 곳에 자문을 하기 바란다.
법현(태고종 사회부장) |
2005-12-12 오전 11:50:00
 
한마디
문제는 배운 내용과 실천양식이 일치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계율은 연구 대상이 아니라 실천 덕목이다.
(2005-12-13 오전 8:42:26)
40
하려고만 하면 할 수 있는 이유와 조건들이 보이고 하기 싫으면 할 수 없는 이유와 조건들이 보이기 마련이다. 원래 까-씨-야는 물들이다라는 의미이다. 처음에는 시체를 쌓던 흰천을 벗겨서 입었는데, 시체 썩은 물이 흰천에 물든 것을 흙이나 다른 염료로 물들여서 입었다. 이후 오렌지색 계통이나 밤색 계통으로 발전했는데, 오늘날 인도, 스리랑카, 태국 등지에서는 오렌지색 계통을 선호하고, 버마, 티베트, 중국, 한국 등지에서는 밤색 계통을 즐겨 입었다. 한때 중국에서는 색으로 신분을 구분하던 시기가 있었다. 황금색은 황족의 색이고 그 다음 신분이 입는 옷이 검은 색이었다. 따라서 출가 수행자들도 황제의 색인 오렌지색은 입지 못하고 그 다음 신분이 입는 검은 색 옷을 입게 되었다. 검은색 옷을 만들기 위한 대용 물감이 먹물이었다. 이것이 오늘날 회색 승복의 유래이다. 간혹 황제나 왕이 국사나 왕사에게 황금색 까-씨-야를 공양 올리면 그것을 입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전통은 조계종에서 수계식 할 때 3사7증의 계사들이 황금색 까-씨-야를 입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계종만 해도 몇 군데의 율원이 있다. 그곳에서 부처님이 제정한 계율을 배우고 있는 수행자들이 많이 있다. 문제는 배운 내용과 실천양식이 일치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최근에 율사라고 하는 스님들이 도량에 있거나 외출할 때 까-씨-야를 입고 다닌 것을 본적이 거의 없는 것 같다. 계율은 연구 대상이 아니라 실천 덕목이다. 조계종만 해도 몇 군데의 율원이 있다. 그곳에서 부처님이 제정한 계율을 배우고 있는 수행자들이 많이 있다. 문제는 배운 내용과 실천양식이 일치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계율
(2005-12-13 오전 8:41:52)
45
불교 수행자들이 도교 옷을 입고 불교 의식을 치르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지적하는 사람도 없다. 심지어는 조계종의 종헌종법에도 도포, 즉 장삼을 까-씨-야와 더불어 공식 옷으로 지정해 두고 있다. 장삼의 원래 이름은 도포이다. 도포란 문자 그대로 도교에서 의식을 집전할 때 입는 옷이다. 불교 수행자들이 도교 옷을 입고 불교 의식을 치르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지적하는 사람도 없다. 심지어는 조계종의 종헌종법에도 장삼을 까-씨-야와 더불어 공식 옷으로 지정해 두고 있다. 부처님 이래 수행자가 까-씨-야를 벗으면 더 이상 불교 수행자로 인정하지 않았다. 지금 당장 외국어로 나가 보라 회색 한복을 입고 다니면 우슈(쿵푸)하느냐고 비아냥거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까-씨-야는 예불할 때 입는 의식용이 아니라 일상복이다. 30년 전 처음 출가했을 때만 해도 어른 스님들이 까-씨-야를 입고 외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니면 장삼위에라도 개량 까-씨-야인 오조가사라도 입고 외출했다. 이러한 문화가 언젠가부터 서서히 사라지더니 이제는 아예 동방차림으로 나돌아 다니거나, 흰 모시적삼을 입고 다니거나, 아예 개량 한복을 입고 다니기도 한다. 동방은 속옷에 해당하며, 출가한 수행자는 원색을 입지 못하게 되어 있다. 알면 실천하는 것이 수행자의 매력이다. 당장 까-씨-야 입는 운동부터 해야 한다. 간혹 한국은 기후조건상 까-씨-야를 입기가 부적합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일리 있는 말이다. 겨울은 그렇다고 쳐도 여름은 왜 할 수 없는지 그것이 궁금하다. 한국보다 자연조건이 훨씬 가혹한 티베트 스님들은 어떻게 까-씨-야를 입고 생활할 수 있는가? 하
(2005-12-13 오전 8:41:10)
48
제 2 조 (의제의 정의) 본법에서 의제라 함은 가사, 장삼, 육도복, 평복(한식주의 행건 포함), 모자, 이구를 말한다. 제 3 조 (법복의 정의) 본법에서 법복이라 함은 가사와 장삼을 말한다. 제 4 조 (심의와 양색) 가사는 안타회, 울다라승, 승가리로 하고 안타회는 5조, 울다라승은 7조, 승가리는 9조, 15조, 25조로 한다. 제 5 조 (양색) 가사는 양색으로 하여야 한다. 양색이라 함은 백지에 청니적합염색을 말한다. 제 6 조 (윤가사) 만의, 안타회, 울다라승은 윤가사식으로 한다 [종단 법령집 p 411] 이렇듯 우리는 내용과 형식이 전도된 사회에 살고 있다. 현재 우리가 접하는 것만이 사실이고 진실인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원래 부처님이 제정한 것들은 이미 박물관 속으로 들어가 버린지 오래되었다. 남은 것은 불교의 상품으로 생산하고 소비하는 시장만이 존재할 뿐이다. 부처님의 정법은 단지 경전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뿐, 그 어떤 것들이라도 상품의 생산과 판매에 방해가 된다면 가착 없이 제거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반야심경의 한 구절처럼 전도몽상(顚倒夢想)의 세계에 빠져있는 듯하다. 수행자는 반드시 하루 종일 까-씨-야를 입어야 한다. 까-씨-야는 불교 수행자의 표시이다. 까-씨-야는 의식용이 아니라 일상복이다. 한국 스님들은 평소에는 까-씨-야를 입지 않고 모셔두었다가 의식이 있으면 소중하게 장삼위에 입습니다. 그리고 평소에는 한복에 먹물 들인 회색 옷을 입습니다. 장삼(長衫)의 원래 이름은 도포(道袍)이다. 도포란 문자 그대로 도교에서 의식을 집전할 때 입는 옷이다. 불교 수행자들이 도교 옷을 입고 불
(2005-12-13 오전 8:40:02)
50
까 -씨-야 와 승복 출가 수행하는 스님들이 입는 옷이 승복이다. 부처님이래 불교 수행자들이 입도록 규정된 까-씨-야(kāsīya, 袈裟)를 입고 길을 가다 사람을 만나면 동남아에서 오신 것 같은데 한국말 잘하시네요하고 질문하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그러면 웃으면서 예 통도사서 살다보니 경상도 표준말을 배웠습니다하고 웃는다. 불교를 잘 아는 듯한 사람들은 옷을 보니 소승불교 스님들이 입고 다니는 옷같은데 남방불교 하십니까하고 질문하기도 한다. 그러면 제가 입고 있는 이 옷이 바로 조계종 종헌종법에 규정된 정복입니다라고하면 거짓말하는 듯이 쳐다본다. 그러면 회색 승복은 무엇입니까 하고 재차 질문한다. 아! 예, 회색 승복은 평상복 또는 작업복입니다. 그것은 한복이지 승복이 아닙니다. 그것을 입고 공식행사장이나 다른 사람들의 예식에 참여하는 것은 대단한 결례입니다 하고 말하면, 별 미친놈 다보겠다는 듯이 쳐다본다. 석굴암 부처님 옷을 한번 생각해보시지요. 제가 지금 입고 있는 옷과 같지 않나요. 아니면 어떤 절에라도 가서 그곳의 부처님을 보세요. 아마 제가 지금 입고 있는 옷과 같을 것입니다 하고 길을 간다. 불교를 잘 아는 듯한 사람들은 옷을 보니, 소승불교 스님들이 입고 다니는 옷같은 데, 남방불교 하십니까하고 질문하기도 한다. 그러면, 제가 입고 있는 이 옷이 바로 조계종 종헌종법에 규정된 정복입니다라고하면 거짓말하는 듯이 쳐다본다. 대한불교조계종 의제법(衣制法) [불기 2506(1962)년 8월 28일 제정, 공포] 제 1 조 (의제착용) 승니는 본법에 정하는 바 의제를 착용하여야 한다. 제 2 조 (의제의 정의) 본법에서 의제라 함은 가사
(2005-12-13 오전 8:36:19)
47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