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드라마나 영화 또는 연극이나 뮤지컬 등에서 스님의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나오면서 가사의 고증에 관한 문제점이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 ||||
또 12월 2일에 방영된 MBC의 ‘직지’라는 기획드라마도 직지심체요절을 지은 백운경한 스님과 묘덕이라는 여인(여승)의 사랑이야기를 끄집어냈다. 또 백운 스님의 가사를 밤색가사를 수하게 하더니 선암사와 필자의 이의제기에 역시 필름작업을 거쳐 어정쩡한 중간색 가사를 수하게 했다.
한국불교의 전통가사는 삼국시대부터 홍가사가 분명하다. 고구려시대에 홍가사를 수하고 있었음이 쌍영총의 고분벽화에 드러나고, 신라시대에는 자장율사, 원효대사, 의상대사 등의 영정 및 자장율사가 문수보살로부터 받았다는 석가여래의 가사 등에서 홍가사를 수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도 홍색가사가 많이 쓰였으며 일제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현재의 밤색 가사(장삼)는 1950년대에 조계종이 창종하면서 보조국사의 괴색가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일반화된 것이다.
덧붙여 가사를 드리우는 시간과 장소의 문제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한국불교에서는 참선, 강의 등을 하거나 공양, 법회, 예불을 올릴 때 법의를 걸쳤다. 그런데 드라마 속에서는 법회의식 등 뿐 아니라 외출을 할 때에는 가사를 드리운다. 심지어는 술을 마시거나 여인과 수작을 나눌 때에도 가사를 드리우고 나와서 문제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드라마 자문에 신중해야 한다. 잘못된 고증은 어느 한 종단만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를 왜곡시키고 결국 불교의 본 모습을 왜곡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드라마 제작자들도 계속 잘못을 저지르지 말고 제대로 아는 이, 아는 곳에 자문을 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