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가장 먼저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곳은 청정선거실현 승가운동본부(상임대표 수완, 이하 청정선거 운동본부). 청정선거 운동본부는 지관 스님 당선이 확정된 직후 집행부 회의를 열고 선거법 개정 운동을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청정선거 운동본부가 ‘우선과제’로 꼽고 있는 것은 선거제도의 전면적인 혁신과 보완. 청정선거 운동본부는 구체적으로 △비구계 수지 5년 이상의 스님들을 대상으로 한 직선제로의 전환 △후보 출마 시 말사주지를 제외한 모든 공직의 선거 1개월전 사퇴 △간선제의 경우 중앙선관위원이나 중앙종무기관 교역직 스님들의 선거인단 출마 금지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청정선거 운동본부는 또 △중앙선관위 산하에 선거감시단(중앙 10명 이상, 교구별 2인 이상) 구성 △후보 난립 방지를 위한 후보자 추천제 도입(본사 주지 2인 이상과 종회의원 10명이상의 추천 의무화) △종책토론회 의무적 개최를 비롯한 선거공영제 전면 도입 등을 촉구할 방침이다.
![]() | ![]() | |||
| ||||
![]() | ![]() |
청정선거문화정착 운동본부(공동본부장 김의정 등, 이하 청정선거정착 운동본부)도 선거 과정에서 노출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청정선거정착 운동본부 강성식 정책팀장은 “우선 선거 과정에서 물의를 일으킨 일부 스님들에게 공직 사퇴를 촉구할 방침”이라며 “선거법 개정작업도 지속적으로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