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김명숙 교수(이화여대 무용과)가 제자들에게 항상 강조하는 말이다. 그리고 그러한 평생의 화두를 춤으로 승화시킨 이번 가을 신작은 자연을 무대로 옮겼다. 10월 26~27일 오후 8시 예술의전당 토월극장에서 막을 올리는 ‘사색의 춤-알ㆍ수ㆍ없ㆍ어ㆍ요’는 김명숙 교수가 이끄는 늘휘무용단이 선보이는 자연의 무대이다.
한용운의 시 ‘알 수 없어요’를 모태로 황병기 교수(이화여대)가 작곡한 ‘알 수 없어요’, 설치조각가 유영교씨의 작품 ‘샘’ ‘Air Joy’ 등이 무대를 장식한다.
“택견 선무도 요가 필라테스 거기에 현대무용의 몸놀림까지 빠르고 느린 몸짓의 조화를 담았습니다. 자연에서 들을 수 있는 비소리 바람소리 파도소리 물소리 등을 그대로 들려주면서 춤과 음악이 덧입혀지는 것이지요.”
![]() | ![]() | |||
| ||||
![]() | ![]() |
“춤의 내용을 알려고 들면 ‘알 수 없어요’라는 답변이 나오겠지만 편안하게 음악이, 춤이 이끄는 대로 따라가다 보면 자연히 온 마음으로 알 수 있을 것”이라고 김 교수는 이번 무대의 매력을 설명한다.
가장 한국적인 몸짓과 가장 한국적인 음악, 가장 한국적인 조각이 한 자리에 모인 ‘사색의 춤 알 수 없어요’. 자연의 몸짓과 함께 음악계의 명인 신경욱 단장(서울시립오페라단), 생황 연주자 손범주, 해금 연주자 정수년, 가야금 4중주단 여울 등이 한 무대에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