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8 (음)
> 종합 > 종단
문화관광해설사 선발, 이젠 불교와 상의할 때
조계종 포교원, ‘문화관광해설사 제도의 활용방안 연구’ 토론회


우리나라 문화재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는 불교문화재. 이 불교문화재를 설명할만한 소양을 갖춘 문화관광해설사가 매우 부족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종교문화관광해설사 제도 신설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주장은 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실장 진명)이 10월 6일 개최한 제5차 포교종책연찬회 ‘문화관광해설사 제도의 활용방안 연구’에 토론자로 참여한 권중서(조계종 포교사 사찰안내1팀장) 씨에 의해 제기됐다.

사진은 제2회 포교종책연찬회. 현대불교자료사진.
지난 2001년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우리 문화유산을 내ㆍ외국인에게 정확히 전달한다는 취지아래 문화관광부가 시행한 문화관광해설사는 현재 전국에서 약 1천 2백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권씨는 “그러나 문화관광해설사 양성교육 및 재교육 과정에 있어 종교문화유산에 대한 종교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문화재로 인식하여 교육함으로써 현장에서 문제점과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종교문화유산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각 종교에서 일정 자격 수준으로 교육ㆍ배출한 사람을 문화관광부에 종교문화관광해설사로 등록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불교대학 2년 과정을 이수한 전국의 1천 8백 명의 포교사 중 문화관광해설사 희망자를 선발해 적극활용하는 방안”을 제의했다.

이날 주제발표에 참여한 신라문화원 진병길 원장도 “사찰문화재 뿐 아니라 산사의 새벽예불이나 좌선, 사경 등을 직접 체험해 불교문화 자체에 해박한 인재가 필요하다”며 “사찰 주지스님과 주관처 책임자가 공동으로 인정한 사람을 선발하는 것이 좋다”고 동의했다.

더불어 진 원장은 ‘문화관광해설사 제도의 불교에서의 활용방안과 종단적 과제’ 발표를 통해 “지나친 수익성은 종교의 세속화를 불러오고 포교에 부작용으로 작용한다”며 “사찰관광을 위한 전문적인 연구를 전담할 기관”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은비 기자 | renvy@buddhapia.com
2005-10-19 오전 11:41: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