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문화 >
유건집 교수의 연표로 보는 차문화사

42. 조선시대 17

왕실에서는 변함없이 잦은 의궤(儀軌)에서 진다의례(進茶儀禮)를 빠뜨리지 않았고 다식(茶食)도 함께 썼다. 다시(茶時)는 일반인들도 평상적으로 알고 있을 정도의 절차로 인식됐다. 이 때의 다모(茶母)는 예전과는 달리 변질되어 비녀(婢女)처럼 천하게 취급되어 사신을 수행하는 장졸들에게 배정되기도 했다. 차츰 움트는 새로운 학풍의 선비들도 차를 즐겼으니 순암, 안정복도 차인이었고 연담이나 지환화상 같은 선승들이 차 정신을 지켰으니, 선가(禪家)의 차는 식을 줄 몰랐다.

중국의 문인들도 차가 없이는 작품 활동을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뿌리 깊이 자리 잡아 시문과 저서들이 끊이지 않고 나왔다. 이즈음부터 특기할 것은 규모가 큰 다상(茶商)들이 출현해 차계는 물론 사회적으로 많은 활동을 했다. 일본에서는 대전선사가 태어났다.

① 김인겸(1707~1772): 고구마를 가져온 조엄이 일본 사신으로 갈 때 서장관으로 수행해 <일동장유가>라는 가사를 썼다. 그 안에 다모(茶母) 얘기가 나오고, 일본에서 차도 마셨다.
② 안정복(1712~1791): 실학자로 <잡동산이(雜同散異)>라는 책에서 혼례 때의 다례(茶禮)와 차 마시는 것을 기록했다.
③ 숙종 때 사역원(司譯院)에서 일하던 김경문 등이 사역원의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책이다. 외교상의 의례 때 쓰인 다례에 관한 기록이 많이 전해져 의식다례를 연구하거나 국교를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④ 숙종 45년 의궤에 다모 2명이란 기록과 송화다식을 준비해서 썼다는 기록이 있다.
⑤ 연담대사(1720~1799): 어려서 고아가 돼 상월 등의 스님들께 수참했다. 차를 즐겨 여러 편의 다시를 남겼다.
⑥ 지환화상: 화엄사 주지를 지냈으며 범음집(梵音集)에 ‘다각(茶角)의 축원문’에 대법회 때 불상에 유차(乳茶)를 올린다고 썼다.
⑦ 최눌(1722~1795): 용담, 상월 등의 스님께 배우고 심성론과 화엄품목 한 편을 지었다. 차를 즐겨 다시도 남겼다.
⑧ 청사(淸使)의 공물 중에는 법랑다완(琺瑯茶완)이 들어 있다.
⑨ 청나라 오진신(吳振臣) 등이 찬술한 것으로 다목(茶木)을 분(盆)에 이식해서 꽃이 피게 하는 내용을 싣고 있다.
⑩ 청나라 고종은 곧 애신각라(愛新覺羅)니 연호를 건륭(乾隆)이라 했다. 평소 차를 즐겨 궁중에서 다연(茶宴)을 자주 거행했고 왕공대신들에게 차를 나누어 주었다. 삼청차(三淸茶)를 만들어 시부를 짓게 하여 상을 주기도 하고 다완을 하사하기도 했다. 차의 산지인 항주, 용정을 여섯 차례나 답사하고 여러 곳의 명차를 직접 마셨으며 시를 지었다.
⑪ 조설근(1715~1763): 거문고 바둑, 서화에서 사부(詞賦) 등도 능했다. 그래서 그의 <홍루몽>에 다시가 많이 나온다.
⑫ 이린: 청대 다상(茶商)으로 강희제 때 첫째로 꼽힌다. 200여 년간 명성을 지켰다.
정유화: 함풍년간에 상해에 다호(茶號)를 내고 동생 유생(裕生)과 함께 다계에 크게 활약했다.
왕진화: 다업을 크게 일으켜 박람회나 농공상부의 일등상을 수상했다.
⑬ 기윤(1724~1805): 우루무치에 귀양 갔다 온 후 <우루무치잡기>에서 다사(茶事)를 썼다.
⑭ 원매(1716~1798): 여러 지방의 관리를 지내고 물러나 시문에 전념하며 <수원시화(隨園詩話)> 등을 남겼고 차를 아주 즐겨했다.
⑮ 대전선사(1719~1801): 상국사(相國寺)의 스님으로 매다옹(賣茶翁)과 친하게 지냈으며 그의 차 정신을 이어받았다. 그리고 매다옹의 이야기를 전기로 남겼다.

<한국>
1707 김인겸(金仁謙)의 출생 ①
1712 안정복(安鼎福)의 출생 ②
@ <통문관지(通文관志)> 간행 ③
1719 진연의궤(進宴儀軌) ④
다시(茶時)
1720 연담(蓮潭)대사 ⑤
1721 범음집(梵音集) ⑥
1722 최눌(最訥)의 출생 ⑦
삼남(三南)의 양전사목(量田事目)에 민원
1723 공물에 다기 포함 ⑧
1725 다시(茶時)


<중국>
1704 전당시 찬집
1705 승주다마사 폐지
1710 <민유우기(민遊偶記)> ⑨
1711 고종(애신각라)의 출생 ⑩
1715 조설근(曹雪芹)의 출생 ⑪
1716 강희자전 완성
@ 다상들의 활동(이린, 정유화, 왕진화) ⑫
1724 기윤(紀윤)의 탄생 ⑬
@ 원매(袁枚)의 활동 ⑭

<일본>
1719 대전(大典) 선사의 출생 ⑮
1724 신정백석(新井白石)의 죽음

2005-08-23 오전 9:10: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