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이제 제 2의 도약기를 맞은 경찰불자회이기에 그 조직과 신행의 패턴도 한 단계 도약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중앙조직과 단위조직이 탄탄한 기반에 오른 만큼 그에 걸맞은 내실을 기해야 한다는 말이다.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며 앞서 나가는 경찰불자회이기에 다른 직능신행단체들의 모델이 될 수 있는 하나의 모델을 창출해 주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좀 가장 본질적이면서도 핵심적인 하나의 주문을 하고 싶다.
직능 신행단체들의 활동이 부진한 중요한 이유는 불교를 그 직능에 접목시켜 독특한 신행문화를 창출하지 못하고 단지 불자들의 모임이라는 성격을 넘어서지 못하는 데 있다고 본다. 일반 사찰에 나가는 것과 차이가 없는 직능 모임이라면, 단지 같은 직종에 있어서 인맥구축과 정보교환의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그 모임이 활성화 될 수는 없다는 말이다. 불교의 이념을 내 직장생활과 연관시켜 직능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또 성공적인 직능인이 되는데 도움을 주는 살아있는 신행문화를 창출해 내어야 한다. 나 개인의 발전을 통해 부처를 이루어가는 과정과, 이 세상을 좀더 나은 곳으로 만들어 나가 결국 불국토를 이루는 일이 직능인으로서의 삶을 통해 이룩된다는 신념을 심어주어야 한다. 경찰불자회라면 경찰 업무의 구체적인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에 부처님의 가르침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가, 경찰업무에 적합하고 그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행법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등등을 현장체험과 연결시켜 개발해 내어야 한다. 불자로서의 삶과 경찰로서의 삶이 하나로 이어지게 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일들은 여러 형태로 시도되어 왔고, 또 단시일 내에 성취되기도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이제 관념적 발원문의 형태를 넘어선, 직능단체별로 다양한 신행강령이 나오고 신행문화들이 정립되어야 할 때이다. 가장 활발하고 모범적인 활동을 하는 경찰불자회에 주마가편의 격려로서 이러한 기대를 보낸다.
성태용 (건국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