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마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대부분 ‘간디’를 첫 손가락에 꼽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인도 국민들은 ‘제이 브힘(Jay Bhim, 암베드카르 만세!)’을 외친다. 우리에게는 아직 낯선 인물이지만, 암베드카르(1891∼1956)는 인도 불가촉천민의 해방자이자 현대 인도불교의 중흥자로 칭송받는 ‘영웅’이자 ‘신화’다.
최근 <암베드카르 평전>(필맥)이 출간된데 이어 그의 일대기와 업적, 어록, 연보 등을 담은 또 다른 평전 <암베드카르>가 선보이는 등 암베드카르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의 일생을 출생, 브라만주의와의 투쟁, 원탁회의, 종교의 탐색과 민중을 위한 불법이라는 큰 획으로 나눈 이 책에서는 그의 사상과 업적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았다. 먼저 그의 일대기를 간략히 살펴보자.
암베드카르는 인도 카스트제도의 최하층 계급인 불가촉천민으로 태어났다. 친구들은 그에게 돌을 던졌고, 교사들은 부정 타는 것
| ||||
교수직을 사임하고 다시 영국으로 건너간 그는 법학과 경제학을 공부했고 1927년 ‘초다르 저수지’ 사건으로 불가촉천민 해방운동의 신호탄을 쏘았다. 이는 마하드 시의 상위 카스트 주민들이 불가촉천민의 초다르 저수지 사용을 반대한 것에 저항한 사건으로, 암베드카르를 비롯한 만여 명의 군중은 저수지까지 행진하고 ‘금지된 저수지’의 물을 떠 마심으로써 자신들의 권리를 행사했다.
이후 그는 힌두교의 개혁을 위해 법무장관과 노동장관을 역임하며 불가촉천민을 위한 정당을 창당했고, 그들의 의회진출을 법제화 하는 등 신분제 철폐를 위해 앞장섰다. 그러나 그는 힌두교 아래에서 신분제를 타파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1935년 “힌두교인으로 태어났지만, 힌두교인으로 죽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 선언한다. 그리고 그가 대안으로 찾은 가르침은 바로 불교였다.
“프라즈나(지혜)와 카루나(사랑) 그리고 사마타(평등)가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기에 저는 불교를 사랑합니다. 이 원리들은 선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건들입니다.”
| ||||
책에서는 암베드카르의 일대기를 짚어가는 한편 인도의 성자로 여겨지는 간디와의 사상 대립을 조명하는데 많은 장을 할애하고 있다. 신분제의 완전철폐를 주장했던 암베드카르와 달리 간디는 카스트 제도가 인도 사회를 지탱하는 힘이라 여겼다. 이러한 인식차이는 불가촉천민의 의회진출과 차별근절 등의 문제에 있어 첨예한 대립을 보였다. 오늘날 인도인들이 “암베드카르가 없었다면 인도 불가촉천민의 역사는 전혀 다르게 쓰여졌을 것”이라고 평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진정 국민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들을 줄 알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일생을 바쳤던 암베드카르의 일생을 통해 오늘날 지도자의 모습을 반추해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