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라이 라마 동북아사무소 한국지부 개소를 기념해 서울 법련사 불일미술관(02-733-5322)에서 15일부터 21일까지 조성되고 있는 ‘모래 만다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동안 연등축제 등의 행사를 통해 소규모 모래 만다라 조성 시연을 선보인 것은 여러 차례 있었지만, 티베트 전통 사원의 스님들에 의해 무려 7일 간에 걸쳐 진행되는 대형 만다라 제작을 공개한 것은 드문 일이기 때문이다. 티베트 스님들의 수행의 방편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모래 만다라 제작. 그것은 과연 어떤 의미를 담고 있으며 또 어떤 과정에 의해 진행될까?
초펠 스님은 15일 열린 모래 만다라 개막전에서 “만다라는 사바세계에서 접할 수 없는 ‘불보살의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달라이 라마는 만다라를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믿기도 한다. 그래서 만다라 조성은 단순히 예술작업에 그치지 않는다. 티베트 스님들은 만다라의 도상은 불법을 깊이 이해하고 체화해야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며, 그것의 형상을 이루는 작업은 깨달음을 얻는 수행의 과정이라고 말한다.
| ||||
15일 전시장에 다시 나타난 티베트 스님들은 미리 작업한 밑그림 위에 색색의 모래를 채우기 시작했다. 전통 만다라에서는 황금과 산호, 진주 등 적ㆍ청ㆍ황ㆍ녹ㆍ백의 다섯 가지 귀한 재료를 썼지만, 요즘은 옥석가루에 색을 입혀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얇고 꺼끌꺼끌한 착퍼의 표면을 쇠막대기로 부비면 그 진동에 의해 깔대기 속의 모래가 조금씩 밖으로 나온다.
색을 채우는 작업은 21일까지 6일동안 계속된다. 그러나 그 작업이 궁극 목표가 아니다. 스님들은 완성된 만다라를 봉헌하는 예식을 진행한 후에, 그 모래를 모두 허물어 버린다. 만다라를 완성한다는 것은 형상의 완성을 의미하지 않는다.
| ||||
마지막 의식은 그 모래들을 강으로 흘려보내는 것이다. 만다라 제작 과정을 통해 불보살의 세계에 닿은 모래를 항아리에 담아 강으로 흘려보낸다. 그 모래가 세상 곳곳에서 부처님의 가피를 전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 때문에다. 21일 까지 법련사에서 제작되는 만다라와, 25~29일 봉은사(02-511-6070)에서 조성되는 만다라 모두 강으로, 바다로 전해질 것이다. 불국토 실현의 소망은 그렇게 이어진다.
이곳을 클릭하시면: 부다피아 달라이라마 만다라전 홈페이지 가기
이곳을 클릭하시면: 부다피아 달라이라마 홈페이지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