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교단 수호 부패근절 비상회의(공동대표 박광서 등, 이하 비상회의)는 6월 9일 영담 스님 등 일부 종회의원들이 불교중앙박물관 문제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한 것에 대한 논평을 발표하고 "불교단체들에 대한 왜곡을 해서는 안된다"고 유감을 표시했다.
![]() | ![]() | |||
| ||||
![]() | ![]() |
비상회의는 또 △내용의 진전 없이 이를 외부적으로 제기하는 것은 종단운영의 책임있는 위치에서 해야 할 바른 처신은 아니며 △기자회견문이 사실관계의 진전보다 선정적인 제목으로 발표된 것과‘불교중앙박물관’ 공사의 가장 중대한 문제가‘임종린 열린우리당 충남도당위원장에게 전달된 계약금 18억여 원’의 행방 문제라고 성급히 예단한 것에 대해 염려된다고 밝혔다.
아래는 비상회의 논평 전문.
청정교단수호 부패근절 비상회의 논평
- 6월 9일, 영담스님 등 일부 종회의원들의 기자회견에 대해 -
영담스님, 영배스님, 지홍스님 등 일부 중앙종회의원 스님들은 6월 9일 오후 2시경 한국일보 송현클럽 대강당에서, 교계기자, 일간지 종단출입기자, 일간지 종로경찰서 출입기자 등을 초청하여 기자회견을 가진 바 있다.
우선, 중앙종회의원 이암스님이 대표하여 낭독한 ‘불교중앙박물관 공사비 18억8천만원이 임종린 열린우리당 충남도당위원장에게 전달됐습니다’ 제하의 기자회견문에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조사대책위원회>에 객관적이고 엄정한 조사를 위해 참여하고 있는 불교단체들이 부당하게 거론된 점이 있어 이를 바로잡고자 한다.
위 스님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불교계 재가단체를 끌어들여 대책위까지 구성했습니다’라고 적시하고 있는데, 동 ‘대책위’는 1차적으로 조계종 중앙신도회 등 3개 단체에서 재가불자들이 추천하는 전문인으로 구성되는 조사 기구의 설치를 공개적으로 요구하여 이를 수용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향후에는 동 대책위에 참여하고 있는 불교단체들이 마치 총무원 집행부 등에 들러리나 서는 양 왜곡될 여지가 있게 표현하는 결례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
참고로 지난 2000년 중앙종회의원 영담스님을 위원장으로 하는 ‘중앙승가대학 이전대책위원회’에 현 <참여불교재가연대 부설 교단자정센터>의 김희욱 원장이 전문위원 자격으로 정식으로 참여하여 활동한 바 있다. 이 위원회에 참여하여 중앙승가대학 김포학사 부실공사 및 공사비 적정성 검토를 면밀히 진행한 바 있다는 사실을 현금의 당사자인 영담스님에게 상기시키고자 한다.
둘째로, 불교단체가 포함되어 있는 ‘조사대책위원회’가 문제의 핵심을 짚어내고, 전반적 관리 시스템의 문제에 접근하고 엄정한 처결방법 및 개선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는 마당에 ‘오히려 진실을 축소, 은폐, 조작 한다는 의혹’을 근거제시 없이 제기한 것에 대해 교계 중진지도자들로서 적절치 않은 행동이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셋째, 우리는 영담스님 등 일부 중앙종회의원스님들이 종단을 투명하게 하겠다는 소신으로 문제제기하는 것이라면 이를 비난할 바 아니다. 그러나 현재 그 무슨 보상도 없이 발품을 팔며 조사에 매진하고 있는 마당에 별다른 특별한 내용의 진전 없이 이를 외부적으로 제기하는 것은 종단운영의 책임있는 위치에서 해야 할 바른 처신은 아니라고 본다.
더불어 불교단체를 거론 할 때에는 그에 합당한 사실관계 확인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우리는 기자회견문이 사실관계의 진전보다 선정적인 제목으로 발표된데 대해서, 그리고 ‘불교중앙박물관’ 공사의 가장 중대한 문제가 ‘임종린 열린우리당 충남도당위원장에게 전달된 계약금 18억여 원’의 행방 문제라고 성급히 예단한 것에 대해 염려되는 부분이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2005년 6월 9일
청정교단수호 부패근절 비상회의(조계종중앙신도회, 불교환경연대, 참여불교재가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