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2 (음)
> 종합 > 사회·NGO
조계종 "10ㆍ27 법난도 과거진상 규명하라"
국방부 과거진상규명위에 공식 요구키로

1980년 전두환 신군부에 의해 전국 3000여 사찰이 짓밟혔던 10ㆍ27법난의 진상이 규명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최근 정부가 국방부 차원의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이해동 목사, 이하 진상규명위)를 출범시키면서 ‘잘못된 역사’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0ㆍ27법난은 당시 신군부가 불교계 비리척결을 이유로 전국사찰에 군인들을 투입, 300여명의 스님들을 연행하고 56명을 구속했던 대대적 불교탄압 사건.

이후 불교계는 1986년 9월 7일 해인사 승려대회에서 10ㆍ27법난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을 촉구했다. 이어 1995년 중앙종회가 10.27법난조사특별위원회를 설치했으며,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와 민중불교운동연합, 정토구현승가회 등이 주축이 돼 10ㆍ27법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을 촉구해왔다.

이에 대해 정부는 1988년 12월 강영훈 국무총리가 담화를 통해 보상과 사과의 뜻을 밝혔다. 또 국회 5공 비리조사 특별위원회에서 정식의제로 다뤄지기도 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진상규명 작업은 전혀 진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교계에서는 진상규명위 구성을 계기로 법난 전반에 대한 조사는 물론 불교계의 명예회복과 정부차원의 사과가 있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 기획실장 법안 스님은 “국방부가 과거 문제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천명한 만큼 이 문제도 반드시 다뤄 국가차원의 사과와 관련 당사자들에 대한 명예회복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조계종은 6월 9일경 기자회견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유철주 기자 |
2005-06-04 오전 10:41:00
 
한마디
조계종은 그에 앞서 자신들의 난투극과 종권 다툼에 대한 과거사부터 규명하라. 1996년 조계사 경내에서 배를 째고 기왓장을 던지고 난투극을 벌이고 난동을 부렸던 깡패 승려들의 사건을 잘 아는가? 이것이야말로 불교계가 먼저 해결해야 할 과거사 규명이다. 자기들은 화합 차원에서 전부 복권을 시키자고 떠들면서 10. 27법란 규명은 갑자기 왜 거론하는가? 내가 저지른 폭행과 방화와 살인 미수 등의 행위는 덮어 두고 무슨 과거사 규명인가? 아직도 불자들이 그토록 미혹한 줄 아는가? 그리고 기독교에 의한 법란은 수도 없이 지금도 자행되고 있다. 그런 놈들한테서 불자들을 지켜내지도 못하는 승려들이 이제 와서 5공화국이 무너졌다고 마음대로 큰소리를 치는 걸 보니 참으로 가소롭고 불쌍하다. 법란이 있던 그 당시 군부를 향해서 큰소리를 치려거든, 현재 이 땅에서 유린되고 있는 불교도들의 아픈 소리도 좀 해결하라. 불도들은 기독교에 의해 곡소리도 못 내고 신음하고 있지 않은가? 아니라고 할 지도 모른다. 그런 실상을 알 리 없을 테니까. 코 앞에 닥쳐온 기독교로부터의 엄청난 재난은 놓아 두고 무슨 과거사 운운이란 말인가? 한심하다 불교의 지도자들이여!
(2005-07-17 오전 12:17:15)
31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1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