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4 (음)
> 문화 > 문화
폐사지, ‘텅빈 충만’의 공간을 찾아
장지현 시인의 '잊혀진 가람 탐험'



황룡사지.


정확한 조사 자료는 없지만 우리나라의 폐사지는 대략 3천 2백여 곳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세상에 알려져 세인들의 발길이 닿는 곳은 1백여곳 뿐. 나머지 대부분은 아직도 역사의 뒤뜰에 방치된 채 무심한 뭇 풀벌레들의 서식지가 되었거나 세월의 그루터기가 되어 삭아가고 있다.

청룡사지.
시인인 장지현 진각복지재단 사무처장(48)은 4년간, 기다리는 이 없는 이 절터들을 수시로 출입하며 그 곳에서 잃어버린 한국불교의 과거를 통해 오늘을 찾고자 노력했다.

그간의 결실이 이번에 한 권의 책으로 출간됐다. 제목은 <잊혀진 가람 탐험>이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현대불교신문에 연재됐던 내용을 묶은 이 책에는 양양 진전사지, 여주 고달사지, 충주 미륵대원지, 서산 보원사지, 익산 미륵사지, 제주 법화사지 등 남한 9개도에 흩어져 있는 35곳 폐사지가 소개돼 있다.

지은이는 전국의 폐사지 가운데 원주 정산리 거돈사지를 대표적인 절터로 손꼽는다. 거돈사지에 들어서면 수령 1천년이 넘는 느티나무와 3층석탑(보물 제 750호), 화강석 불대좌 등이 조화를 이뤄 거돈사지 특유의 애잔한 모습을 연출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력(寺歷)을 증언해 주는 각종 석물들이 절터 왼쪽에 즐비하게 누워있어 분명 폐사지이기는 하지만 황량한 느낌보다는 꽉 채워진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이 여느 폐사지를 답사할 때와는 사뭇 다르다고 술회한다.


만복사지.


4백년만에 위용을 드러낸 조선 국찰 양주 회암사지도 지은이의 발길을 한동안 머무르게 한 곳이다. 현재 발굴작업이 한창인 회암사지의 순례는 그 명성이 국찰인 만큼 한두 번의 발걸음으로 끝내기는 벅차다고 한다. 특히 회암사는 이성계가 왕위를 태종에게 물려주고 말년에 권력의 무상함을 되새기며 위로받던 곳이다. 그래서 회암사터에는 청기와를 비롯해 발·잔·합과 같은 분청사기와 청화·철화백자 등 왕실의 살림살이가 깨지고 부서진 채 지하 곳곳에 탑을 이루고 있다고 지은이는 묘사한다.


미륵대원지.


폐사지 순례를 하며 지은이가 수시로 가보고 싶은 충동을 느꼈던 곳도 있다. 합천의 영암사지이다.
영암사지.
그 이유를 지은이는 영암사지야말로 황매화 같이 신령한 힘과 기상이 분출되는 곳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영암사지의 탐험은 정교하게 쌓아올린 석축과 그 위의 석조물들, 그리고 동편 조사당 터암수 2개의 귀부(보물 제 489호) 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살피는 것이 적당할 것이라고 소개한다.

특히 영암사지 건축에 깃든 옛 사람들의 예술적 미학은 금당의 석단 4면에 돋을새김한 여덟 마리 사자, 불대좌 기초석의 팔부중상, 금당 계단 소맷돌의 가릉빈가 조각상 등 절터 구석구석 어느 한 곳 빼놓을 곳 없이 섬세하고 감미롭다고 극찬한다.

최근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따라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우리 국토 곳곳에 매장돼 있는 역사의 성보들을 캐낸 지은이의 땀방울들이 책 곳곳에 녹아 있어 편안히 앉아서 책장을 쉽게 넘기는 독자의 입장이 오히려 미안할 정도다.

책 <잊혀진 가람 탐험>.
지은이와 함께 현장을 답사해 폐사지 모습을 생생하게 앵글에 담아낸 고영배 현대불교 차장의 사진들도 글의 이해를 쉽게 해주고 있다.


잊혀진 가람 탐험
글 장지현 | 사진 고영배
여시아문 | 2만3천원







김주일 기자 |
2005-06-01 오전 10:58: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