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파괴 논란을 빚어왔던 통영미륵산 케이블카 건설 공사가 재개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해 불교환경연대(상임대표 수경)가 5월 13일 이를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불교환경연대는 "케이블카 상부정류장 토지 소유자인 용화사가 조계종 총무원에 토지 임대 승인 요청을 했고 통영시는 조계종의 토지 임대 승인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불교환경연대는 또 "케이블카 설치 공사는 애초부터 잘못된 것"이라며 "총무원은 토지 임대 승인 요청을 반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불교환경연대는 이어 "우리는 미륵산 케이블카 건설 사업이 전국 곳곳의 수행환경과 자연환경을 훼손할 수 있는 상징적인 사안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후 불교계 및 시민·사회·환경 단체와 연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나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아래는 성명서 전문.
통영 미륵산 케이블카 설치 사업 강행에 대한 우리의 입장
○ 조계종총무원은 토지임대 승인요청을 반려하고 미륵산 수호를 위한 종단적 조치를 취하라
○ 통영시는 반환경·반불교적 사업을 중단하라
통영 미륵산 케이블카 설치와 관련해 최근 케이블카 상부정류장 토지 소유자인 용화사에서 조계종총무원에 토지 임대 승인 요청했다. 또 미륵산 케이블카 설치 사업 시행자인 통영시는 용화사와 조계종총무원의 토지 임대 승인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정류장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미륵성지에 케이블카 애초부터 잘못된 계획
이에 대해 우리는 먼저 수행환경과 자연환경이 온전히 지켜져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미륵산은 조계종 종정을 역임한 효봉스님 등 수많은 스님들이 불조의 혜명을 잇기 위해 수행정진한 성산이다. 지금도 눈푸른 스님들이 촌각을 아껴가며 수행하고 있는 청정한 도량이다. 미륵산은 통영의 대표적인 산으로 아름다운 자연풍광을 유지하고 있다.
해발 461m의 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애초부터 잘못 계획된 사업이다. 사업 타당성도 의심스럽거니와 자연환경과 수행환경을 파괴하는 반환경적, 반불교적 사업이다. 중앙정부의 예산이 배정되었기 때문에 공사를 강행한다는 것은 합리적인 태도가 아니다.
총무원은 토지임대 승인 요청을 반려해야 한다
당연히 백지화되어야 할 사업임에도 도량을 온전히 가꿔야 할 사찰에서 토지 임대 승인을 요청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용화사와 해당 교구본사인 쌍계사는 지금이라도 수행도량과 미륵산을 지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조계종총무원 또한 토지 임대 승인 요청을 반려하고 수행환경과 자연환경을 지키도록 쌍계사와 용화사를 지도 감독하여야 하며, 미륵산을 지키기 위한 종단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
통영시의 행태는 훼불 행위와 다르지 않다
통영시가 토지 소유주인 용화사와 조계종총무원의 토지 임대 승인도 받지 않고 상부정류장 공사를 강행한 데 대해 우리는 깊은 우려를 표한다. 통영시의 이런 행태는 조계종의 권위와 질서를 조롱하는 훼불 행위와 다르지 않다. 공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 조계종총무원은 즉각 진상조사에 나서야 하며, 통영시와 용화사 관계자의 잘못이 밝혀지면,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권위의 추락을 자초하는 것이며, 반환경적·반불교적 사업을 시행토록 묵인한 책임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60억 중창불사 위해 미륵산 훼손 있을 수 없는 일
우리는 또한 미륵산 케이블카 건설 사업과 통영시의 용화사 지원 계획이 진행되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통영시는 지난 1월 용화사에 60억원 규모의 ‘미륵산 케이블카와 연계한 문화재 복원사업 지원 계획’을 제출했다. 이 지원 계획이 미륵산 케이블카 건설 사업에 반대해왔던 용화사의 태도 변화와 무관치 않다고 생각한다. 만약 그렇다면, 용화사 중창불사를 위해 수행환경과 미륵산을 훼손하는 중대한 사안이다. 우리는 미륵산 케이블카 건설 사업이 전국 곳곳의 수행환경과 자연환경을 훼손할 수 있는 상징적인 사안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후 불교계 및 시민·사회·환경 단체와 연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나갈 것이다.
불기 2549(2005)년 5월 13일
불교환경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