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청정교단수호 부패근절 비상회의(준비위원장 박광서, 이하 비상회의)는 5월 4일 기자회견을 갖고 불국사 주지 스님과 관련한 의혹들에 대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비상회의는 이날 발표한 논평에서 "사건이 표면화 된지 수일이 지났지만, 당사자의 책임있는 해명과 대처가 없고, 종단 차원의 문제 해결의지도 전혀 찾아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비상회의는 이어 "총무원이 불법골프연습장 설치 사안에 대하여 사법당국의 판단과 관계없이 최소한 종헌종법과 승가정신에 입각하여 문제가 무엇인지, 책임소재가 어디에 있는지를 규명하여 의법 조치할 것"을 주장했다.
![]() | ![]() | |||
| ||||
![]() | ![]() |
비상회의는 이와 함께 "조계종 총무원과 불국사 주지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지 않는다면, 한국불교와 1천만 불자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불가피하게 사법적인 대응을 포함한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비상회의 최연 집행위원장은 "부처님오신날을 앞둔 상황이지만 총무원과 불국사측의 관련 의혹 규명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돼 해명을 촉구하게 됐다"고 기자회견 배경을 설명했다.
다음은 5월 4일 발표된 비상회의 논평문 전문.
불국사 주지 관련 의혹 해결 없이
누가 교단의 자정의지를 믿겠는가!!
‘비상회의’는 최근 언론에 보도되어 불교의 명예를 크게 실추시킨 현안들에 대하여 성역없는 조사와 진실규명에 책임 있게 나설 것임을 밝힌바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현재 불교역사문화기념관 건립의혹을 밝히기 위한 조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모든 사안의 진실은 숨김없이 공개되어야 하며, 그에 따르는 책임규명만이 실추된 교단과 불자의 명예를 회복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교단 안팎에 다시 한 번 호소한다.
우리는 언론에 공표된 사건들 가운데서도 불국사 주지 종상스님과 관련하여 제기된 불법골프연습장 설치, 해외원정도박, 환치기 및 호화요트 구입 의혹과 같은 사안들이 청정교단의 이미지를 심대히 훼손하고 있다는 판단 하에 분명한 사실 확인 전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의혹의 해명을 당사자에게 촉구한 바 있다. 이는 제기된 사안들이 당사자 개인의 명예 차원을 넘어 교단 전체의 도덕성, 아니 불자 전체의 자긍심을 심히 훼손하는 중차대한 사안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건이 표면화 된지 수일이 지났지만, 당사자의 책임 있는 해명과 대처가 없고, 종단차원의 문제 해결의지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그런 사실이 있었다고 세상을 향해 인정하는 꼴이 되고 있다. 우리는 자정을 위해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이처럼 대중의 망각에 기대어 사건을 적당히 무마하려는 교단내 그릇된 관행이라고 판단한다.
특히 조계종 총무원은 이 사안과 관련하여 교구본사 주지회의에서 진상조사를 결의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단체와 면담에서 “증거를 내놓아라. 불교단체들이 증거를 내놓지 않으면 조사할 수 없다.”는 소극적 자세로 일관하였다. 검찰조사와 관계없이 당사자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통하여 나름대로의 조치를 취할 의지 자체가 없다면, 누가 교단의 자정의지를 믿을 수 있겠는가? 또 검찰조사가 진행 중인 사건은 조사할 수 없다면, 대체 교단 내에 호법부가 왜 필요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총무원이 불법골프연습장 설치 사안에 대하여 사법당국의 판단과 관계없이 최소한 종헌종법과, 승가정신에 입각하여 문제가 무엇인지, 책임소재가 어디에 있는지를 규명하여 의법 조치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아울러 불국사 주지와 관련하여 제기된 각종 의혹에 대하여 즉시 조사하여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다시 한 번 강력히 촉구한다.
또한 당사자인 불국사 주지 종상스님이 자신과 관련하여 제기된 의혹에 대한 진실을 공식적이며, 공개적으로 밝힐 것을 다시 한 번 요청한다. 그에 따라 종상스님이 공언한대로 책임소재의 규명 등이 마땅히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는 교단의 고위 공직자이전에, 불교계 전체의 명예를 실추시킨 수행자의 한사람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최소한의 책임 있는 조처일 것이다.
만약 이 문제의 책임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조계종 총무원과 불국사 주지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지 않는다면, 한국불교와 1천만 불자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불가피하게 사법적인 대응을 포함한 가능한 모든 조치를 우리부터 취하지 않을 수 없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2005. 5. 4.
청정교단수호 부패근절 비상회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