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획·연재
'바지락국' 약 드리자 몰래 떠난 홍법 스님
[설곡스님의 스님이야기] 홍법스님 2


(전호에 이어) 스님께서는 지금 중앙승가대 총장인 종범스님에게 전강하여 강사를 시키고 주지소임을 맡으셨다. 그 때 나는 해인사 선원에서 정진하고 있었는데 사람을 보내 부르셨다.

“통도사에 와서 중강(仲講)을 하면서 실력을 쌓아 강사할 준비를 해요. 통도사는 사람이 필요해요. 공부하는 사람이!” 그래서 나는 얼마 동안 중강을 맡아보면서 공부하게 되었다.

“내가 스님에게 이 방을 줄 터이니 여기서 훌륭한 사람이 되어 나오세요. 이 방은 한용운스님과 운허스님께서 쓰셨던 곳입니다. 여기서 스님도 그분들과 같은 사람이 되기를 서원하면서 공부하기 바랍니다.”

‘화장찰해(華藏刹海)’라는 편액이 붙어있는 마루가 달려있던 방이었다. 스님은 그 방에서 옛날 그 방을 썼던 훌륭한 분들과 같은 스님이 다시 출현되기를 바랐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 방이 헐려 없어지고 나 또한 스님의 당부대로 되지 못했으니 제행이 무상한 것은 어쩔 수 없는가. 내가 통도사를 떠나 대구 부근 고찰에서 주지 소임을 맡고 있을 때 스님은 깊은 병이 드셨다. 간경화가 이미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스님은 대중에서는 서로 피해가 된다며 내가 머물던 조용한 곳으로 오셨다. 내가 쓰던 방을 비워드렸지만 한사코 비워둔 방에 자신의 거처를 만들고 머무셨다. 시내에 나가 간경화에 좋다는 바지락을 사다 국을 끓여 드렸지만 스님은 드시지 않았다.

“왜 내가 시키지 않는 일을 합니까? 한 평생을 먹지 않던 것을 이제 와서 먹으라는 거예요? 나를 더이상 슬프게 하지 말아요.”
스님의 고집은 완강했다. 그러한 고집이 한평생 수행자로서의 생활을 유지하게 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때 스님이 너무 계율에 집착한다고 생각했다. “스님! 스님만 생각지 마십시오. 중생을 위해서 이것을 드셔야 합니다. 스님자신을 위해서보단 중생을 위해 더 사셔야 합니다. 이것은 그냥 약입니다.”

“그렇다면 알았어요. 내가 혼자 먹을 터이니 스님은 그만 나가 스님일을 보도록 해요.”

내가 방을 나온 뒤 스님은 그것을 냄비 채로 들고 나가 텃밭에 묻어버리고 말았다. 그러기를 몇번이나 했다. 그리고는 어느 날 말없이 떠나버리시고 말았다. 지금 생각하면 끝까지 계율을 지키시고자 했던 스님을 도운 것이 아니라 오히려 괴롭혀 드렸다는 자책이 든다.

그로부터 얼마 뒤 스님은 입적하셨다. 이제 내가 병을 앓고 있다. 이 약 저 약을 먹어보려 생각해보지만 내키지 않는다. 수행자가 병이 들면 대체로 두가지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다. 참담하다는 생각과 진실로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로 생각하는 것이다. 홍법스님은 그렇게 가셨지만 이제 나는 어떻게 해야 하나 생각해본다. 수행자로서의 삶에 더욱 투철해야겠다는 결론이다.

인욕을 실현하며 사는 수행인에게 어째서 병이 생기는 것일까. 인욕하는 생활이 곧 수행이라면 수행과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아마도 억지로 참는 행위가 마음에 병이 될 것이다. 인욕은 억지로 참는 것이 아니다. 화나는 원인을 생각해 보면 자신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자신을 주장하는 순간 아무리 참는다고 해도 그것은 이미 몸과 마음을 상하게 하는 것이다. 자신이 보잘 것 없는 존재라는 것을 사무치게 인식할 때, 화는 사라지는 것이며 매사를 감사하게 생각할 것이다. 진정 만사에 감사하는 사람에겐 언제나 희열이 있을 뿐 성남은 사라지는 것이 아닐까. 죄에는 자성이 없다. 마음 따라 일어나는 것일 뿐이다. 자신을 주장하는 마음이 없는데, 어디에 죄가 일어날 수 있겠는가.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마라. 병이 없으면 매사에 경솔한 생각이 들게 되니 병으로 스승을 삼아라’고 하지 않았는가. 스님은 병중에도 훌륭한 수행인으로 살다가 가셨다. 지금 와서 돌아보면 그렇게 서둘러 돌아가신 스님이 우리에겐 아쉽지만 당신 자신은 행복하셨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며칠 전 삼화령 가는 입구를 지나왔다. 여러 해를 해외에서 사느라 한국의 봄을 제대로 느낄 기회가 없었는데 모처럼 한가하게 한국의 봄길을 달려보니 한국의 신록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삼화령을 지나며 충담스님을 생각했다.

“임금은 지아비요, 신하는 지어미니 백성은 아해라. 임금이 임금답고, 신하가 신하다우면 백성은 태평하리니.”

요즈음 온 나라가 ‘답지 못한’ 사람들로 가득차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국가의 수반이 수반답지 못하고 그의 아들이 아들답지 못하다. 정치인이 그 답지 못하고 국민 또한 그러하다. 그래서 서로를 불안하게 하는 것이다.

홍법스님이 그리운 것은 비록 짧은 생을 수행자로 살다 가셨지만 ‘스님다운 스님’이셨기 때문이다. 홍법스님 같은 스님을 다시 뵙고 싶다.

대한불교수도원 원장 설곡스님 |
2005-04-13 오후 8:09: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