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멀리 따진다면 젊은 세대가 쉽게 관심을 가지고 불교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불교의 현대적 재해석과 참신한 방편을 마련하지 못한 것에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런 근본적인 문제까지 해결하려면 시간이 좀 걸린다고 치자. 고사 상태의 대학생 불자회를 살리기 위한 최소한의 인적, 물질적 지원에 대해서도 눈감고 귀막고 있는 것은 변명이 되지 않는다. 미래 세대의 불자 양성에 대한 전반적인 무관심, 우리 불교계 전반에 퍼져있는 이 고질병을 치유하지 않으면 내일의 불교는 없다는 자각이 있어야 한다.
우선 당장 대학생 불자들의 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그 다음으로는 그들을 올바로 커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수님들, 스님들, 사찰들과 연계를 맺어주는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역시 고사상태에 빠져있는 ‘대학생불교연합회’ 등의 조직을 활성화하여 그들이 지역적 전국적 유대 속에서 큰 움직임을 일으켜 나가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학생을 비롯한 젊은 불자들이 스스로의 모색을 통해 자신들 세대에 맞는 불교문화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당장 시주가 들어오는 계층의 포교에만 힘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우리 불교계의 슬픈 모습이다. 그러다간 머지않아 사찰과 불상은 즐비한데 불자는 없는 불교의 암흑기가 올 것이다. 그것을 막을 가장 시급한 작업이 무엇인가? 가장 가까운 시일 안에 차세대 불교의 주역이 될 대학생 불자들의 맥을 살리는 일이다. 한 세대의 공백이 오면 그 후유증은 그 뒤에 몇 배의 노력을 기울여도 쉽게 메워 질 수 없기 때문이다. 더 늦기 전에 모든 불자들과 사찰, 종단이 꺼져가는 대학생불자회를 활성화시키는 데 나서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