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0년대부터 대두된 불교복지단체 설립 필요성에 의해 구성된 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은 그동안 정부로부터의 시설 위탁과 봉사자 양성으로 복지 인프라를 구축해 불교복지의 터전을 마련해왔다.
현재까지 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의 양적 성장은 대내외적으로 일단 성공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95년 구로종합사회복지관 등 2곳이던 복지재단 산하시설이 2005년 현재 94개소에 이르며 불교계 위탁시설은 450여 곳이다. 이는 종교 복지의 성공적 모델로 꼽히는 천주교와도 규모면에서는 뒤지지 않는 수준이다.
자원봉사자 양성 규모도 현재 복지재단 산하시설에만 1500여명이 투입돼 있고 매년 300명씩 새로운 봉사자가 생겨난다는 것에서 복지 인적자원 확충에도 신경써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복지재단 설립 10주년이 되면서 일각에서는 양적 팽창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앞으로 내실을 다져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올해 복지예산이 이미 지방자치단체에 이양됐고 오는 7월까지는 정부 시책에 따라 모든 미인가시설을 법인화해야 하는 등 복지환경 자체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어 복지재단도 이에 발맞춰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당면 과제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복지재단 이용권 사무국장은 “향후 복지재단은 불교이념을 중심으로 교구본사와 중앙, 시설의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정책을 생산하는데 역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복지 전문가들은 종단에 불교복지전문연구소 설립과 복지재단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복지원’ 설립이 관건이라고 조언한다. 현재 복지재단에는 연구위원회만 구성됐고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연구소는 전무한 상태다. 연구소가 마련되기 위한 선행조건은 운영 자금 마련과 철저한 연구 사업 구상이기에 현재 복지재단에서보다는 ‘복지원’ 정도의 규모가 돼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강북장애인복지관 조석영 사무국장은 “100여개나 되는 재단 산하 기관들을 현재 복지재단에서 챙기기는 것은 무리”라며 “복지원이 설립돼야 불교복지의 대사회적 활동에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