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회장 법장, 조계종 총무원장)는 1월 28일 총회를 열고 한국인 징용자의 유골을 송환키로 결의했다.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는 3월경 일한불교문화교류협의회(회장 미야바야시쇼겐)와 회의를 갖고 합동 위령재 개최 등 유골봉환일정을 구체적으로 확정할 계획이다.
| ||||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는 오는 6월 이내에 도쿄(東京) 유텐지(佑天寺)에 보관 중인 한국인 징용자의 유골 705구를 시작으로 일본과 동남아 시베리아 등지의 한국인 유골까지 봉환한다는 방침이다.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는 이들 무연고 유골을 양평군 양평공원으로 봉환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한일 불교계는 지난해 6월 10일 일본 도쿄 유덴지(祐天寺)에서 합동위령재를 열고, 일본의 24개 사찰에 보관중인 한국인 징용자의 무연고 유골을 봉환키로 결의한바 있다.
한국불교계가 유골봉환에 나서는 것은 일본 불교계의 강력한 요청 때문. 24개 사찰에 5만여구의 유골을 봉안하고 있는 일본 불교계는 한국인 강제동원 명부도 작성해 그동안 꾸준히 국내외에 알려왔다. 이로 인해 군인으로 복무한 남한출신 유골 705구만 주장하던 일본정부는 현재 비공식적으로 강제동원 된 한국인 희생자들의 실체를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한일 불교계는 유골봉환은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이뤄져야 하는 만큼 종교계가 앞장서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일제시대 일본으로 끌려간 한국인만 85만여명으로 추산된다. 강제동원된 한국인은 일제가 군수공장과 농장, 토목공사장, 광산 등을 운영하던 일본, 중국 하이난섬(해남도), 사할린, 남양군도 등으로 끌려갔다. 해방 뒤에도 귀국하지 못한 사람들은 현재 30여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유골이나마 국내로 돌아온 경우는 극히 드물다. 종전 직후인 1948년 2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연합군총사령부에 의해 봉환된 6000여구가 전부다.
우리 정부가 1966년 북한출신자 문제를 고려해 차선책으로 무연고자 유골을 일본내에 항구적으로 매장토록 요청하면서 일괄인수는 수포로 돌아간 것이다.
이후 1969년 제3차 한일 정기각료회의에서 연고관계가 분명한 유골에 대해서는 연고자 요청에 따라 개별 봉환키로 양국이 상호 양해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1970∼1998년 1192구의 일본 정부 보관 유골이 봉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