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부가 봉환해온 유골은 1천192위에 불과하다. 정부는 이번 유골봉안 문제가 불거지면서 일본 도쿄(東京) 유텐지(佑天寺)에 보관 중인 유골 1천136위 가운데 남한출신 705위 전부를 조속한 시일내에 봉환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태평양전쟁 희생자의 유골봉안문제를 서둘러 봉합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봉환하겠다는 유골은 한국정부와 일본정부가 한일협정당시 인정한 유골 2328위에 한정한 것이다. 이 유골은 태평양전쟁당시 현역으로 징집당한 사람들만 인정한 것이다.
본지가 2002년부터 취재한 바에 따르면 일본의 24개 사찰에 봉안되어 있거나 화장된 채 합장된 유골은 40만여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군대와 미쓰비시제철소등 기업소에 강제로 징집당한 뒤 억울하게 희생당한 무연고 한국인 희생자들이다.
군대와 기업소에 끌려온 한국인들의 숫자는 공식적으로 파악이 되지 않고 있다. 대략 희생자만 40만명에 이르기 때문에 100만명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정부는 태평양 전쟁이 끝나면서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한국인들을 모두 동굴로 끌고 가 독가스로 집단학살했으며, 일부는 땅속에 생매장시키기도 했다.
일제는 한국인 희생자들의 유골을 화장한 뒤 사찰의 묘지에 300~500명씩 합장했다. 또 화장하지 못한 일부 유골은 마대포대에 담아 법당의 지하실에 쌓아놓았다. 한국인 유골이 담겨있는 지하실 열쇠는 일본 후생성이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해당사찰의 주지 스님도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현재 40만명의 한국인 희생자들의 명부는 세계사 주지 대야호룡 스님등이 가지고 있다. 이 명부에는 사망자의 본적과 사망년월일, 사망원인들이 기록돼 있다. 명부는 일본정부가 한국인의 유골을 사찰의 묘지에 안장할 때 관공서에 남아있는 기록들을 가져와 일본 스님들이 직접 정리해둔 것이다.
일본 스님들은 이 명부에 입각해 그동안 끊임없이 한국인 피해자는 40만명이라고 주장해왔다.
재일 한민족 희생자 위패 및 유골 고국 봉안문제는 오랜 기간 한·일정부의 현안이었으며, 피해 보상금을 염두에 둔 국내의 단체들이 난립하면서 이권다툼의 모양을 보여왔다. 불교계도 2002년 일본에서 한중일대회 개최당시 유골봉안을 제의받고 추진하려 했지만 공론화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난제로 계획이 수포로 돌아간 바 있다.
현재 일본 후생성도 비공식적으로 40만기에 이르는 유골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물밑접촉을 통해 조용히 유골을 한국으로 가져가도록 조치하는 상황이다.
한편 한국정부는 1993년 ‘망향의 동산’에 유골 14,400기의 안치가 가능한 납골당을 설치해놓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