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건집 교수의 연표로 보는 차 문화사>
16. 고려시대 ④
고려의 왕실이 어느 때보다 안정되면서 국왕이 불전에 나아가는 것은 물론 왕궁에서 보살계를 받고 팔관회를 행하며 왕자가 승적(僧籍)에 오르는 등 왕실과 사찰은 말할 것도 없고 모든 계층이 사람들이 차를 마시게 된다. 그 증거로 팔관회나 연등회가 자주 열리고 그 기간도 길어지며, 왕궁 안에 불도량을 열기도 했다. 그런 행사 때 마다 송에서 온 용봉단 같은 고급 차를 올렸으니, 이는 사신들이 가져온 것 외에 상인들이 가지고 오는 것도 많았다는 것을 뜻한다.
사찰에서는 직접 생산해 쓰는데도 많았지만 대찰에서는 다촌(茶村)이라는 차 생산 마을을 두어 매년 차를 만들어 절에 바치도록 하고, 때로는 왕이 직접 사찰에서 헌다례를 행하기도 했다. 왕이 내리는 하사품에는 거의 차가 들어 있어서 차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컸다.
중국에서도 다마(茶馬)무역이 절정기를 이루어 국가에서 각다법과 다마법을 고쳐 전매(專賣)하고 개인들이 사고 팔지 못하게 하여 나라 재정으로 흡수했다. 매요실, 구양수, 왕안석, 소식, 사마광 등의 기라성 같은 다인들이 출현하고 수많은 다서가 쓰여진 연고차의 융성기였다.
① 의천은 문종의 넷째 아들 후(煦)이며 의천은 자(字)이다. 시호는 대각. 왕이 다약을 하사함에 상소를 올렸다. <대각국사 문집>
② 이자현은 후에 예종 때 차를 하사받고 수차 왕의 부름을 받아 차를 마시고 하사품을 받았다. 인종 때까지 총애를 입었다.
③ 은으로 된 기명들을 송나라에 보낼 정도면 다기 또한 금은으로 만들어진 것이 분명하다. 육우의 경에서도 금은으로 된 다기가 제일이라 했다.
④ 문종 32년 송나라 사신 안도와 진목이 여러 물품과 용봉차 열 근을 보냈다. 금으로 도금된 죽절합자, 명금오채로 장식한 붉은 칠을 한 상자에 넣어 꽃비단으로 싼 용단 봉단 각 다섯 근이었다.
⑤ 매요신(梅堯臣, 1002~1060): 송대 시인으로 차를 좋아해서 <남유가명부>를 썼고 <왕릉선생집>에 다시들을 남겼다.
인종(仁宗, 재위 1022~1063): 다법을 많이 고치고 사다법(射茶法)과 각다법(榷茶法)을 파(罷)했다.
⑥ 송자안: 송대의 차학자. <동계시다록>을 저술했다. 이 책은 건아차에 관해 쓴 것으로 ‘거안다품 갑천하(建安茶品 甲于天下)’라 했다.
⑦ 왕안석(1021~1086): 송대 문학가로 차를 마셨으며 특히 양선차를 많이 마셨다. 각다법을 파하게 했다.
사마광(1019~1086): 송대 사학가로 <자치통감>을 찬수하고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다시가 많다.
⑧ 소식(1037~1101) 송대 문인으로 동타거사다. 차를 좋아해서 심기, 끓이기, 품수에 까지 두루 통하고 수많은 다시를 남겼다. 특히 ‘엽가전(葉嘉傳)’이 유명하다.
황정견(1045~1105): 송대 시인으로 자는 노직. ‘소문사학시’에 첫째로 꼽히고 많은 다시가 애창되고 있다.
진관(1049~1100): 송대 문인으로 ‘소문사학사’에 속한다. 차를 좋아해서 ‘오백나한도기’ ‘만정방’ 등에 차 얘기를 남겼다.
⑨ 황유: 송대 차인으로 <품다요록(品茶要錄)>을 저술했다. 찻잎을 따서 만드는 과정에 따라 차품이 결정됨을 얘기하고 있다.
<한국>
1053 국왕(문종) 문덕전에서 보살계, 흥국사에서 팔관회 개최
1056 의천(義天)이 차를 하사 받고 상소 ①
1061 이자현(李資賢)의 출생 ②
1066 해린에게 차 하사
1067 흥국사에서 5주 동안 연등회 개최, 의천을 승통으로
1071 송(宋)과 국교회복
1072 송에 은기명(銀器皿) 보냄 ③
1073 회경전에서 5일 동안 반야도량
1074 내전에서 백고좌를 열다.
김양감이 송에서 도서 수집
1076 왕이 보살계를 받다
1077 금자(金字) 화엄경을 만듬
1078 송나라 사신이 용봉차를 가져옴 ④
1079 송에서 의약서를 가져옴
<중국>
@ 매요신, 인종이 활동 ⑤
1059 차전매제 폐지
1064 송자안(宋子安) ⑥
1067 왕안석(王安石) 사마광(司馬光) 활동 ⑦
1069 청묘법 시행
@ 다마무역이 성행함
@ 소식, 황정견, 진관 등의 활동 ⑧
1074 차 수출, 정부 독점
1075 황유의 활동 ⑨
1079 일부지역 납차통상 허용
<일본>
1052 우치평등원(宇治平等院)
1078 다사기록(茶事記錄)이 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