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조기룡 씨의 <불교지도자의 리더십이 사찰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이 그것. 동국대에서 행정학을 전공한 조 씨는 주지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도심신흥사찰의 성장 원인 분석을 시도했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도출한 주지의 카리스마적 리더십 범주와 사찰성장 관련 변수를 도출해 가설을 세우고, 이를 설문조사 등을 통해 검증하는 방법을 취했다.
논문에 제시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사찰 선택의 가장 중요한 고려요인은 ‘주지의 법문이나 법력’(46.3%)으로 나타났으며 집과의 거리(21.7%), 사찰 내 활동(8.9%)이 뒤를 이었다. 주지의 법문이나 법력은 신흥대형사찰(42.5%)에 비해 신흥중소형사찰(53.3%)의 신도들이 더욱 중시했다.
절 선택 중용요인 '법문과 법력'
'주지 모범' 신도수행에 큰 역할
현 사찰의 성장 원인을 묻는 질문(복수응답 요구)에 대해서는 주지의 법문(56.7%), 교리공부(33.5%), 주지의 불사헌신(25.7%) 등의 답이 우위를 점했다. 특히 신흥대형사찰(32.1%) 신도들이 신흥중소형사찰(14.2%) 신도에 비해 주지의 불사헌신을 중요 요소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조 씨는 비전제시, 역할모델링, 불사헌신, 설법교화력, 개인적 배려 등 주지의 카리스마적 행동범주가 신도의 질(수행과 실천)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주지의 불사헌신은 사찰의 양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나 신도의 질적 성장에 있어서는 무관(신흥대형사찰)하거나 부정적(신흥중소사찰)이다 △신도의 내적 수행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주지가 신도에 모범을 보이는 것(신흥대형사찰)과 신도 개인에 대한 배려(신흥중소사찰)다 △신도의 실천 활동은 주지가 신도를 개별적으로 인지하고 격려할수록 활발해지며, 불사헌신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편 조 씨는 이들 신흥사찰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주지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성공적으로 계승돼야한다”며 “주지가 개인적인 카리스마 형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후계자의 카리스마 건설을 돕지 않으면 지속적인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