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9 (음)
> 종합 > 종단
"조계종 신도등록사업, 어디까지 왔나"
재적사찰 갖기 뜻 못살려 신도들 '외면'

매년 3만여명 등록해도 갱신율 13%에 그치고 있다. 현대불교자료사진.
조계종 포교원(원장 도영)과 교육원(원장 청화)이 1995년 별원으로 독립한지 올 1월로 10년을 맞았다. 그동안 조계종의 각종 포교사업과 승가교육 제도화 등에 성과를 이뤄낸 두 원은 유독 신도등록 사업과 강원교육 체계에 대해서만큼은 제대로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본지는 두 차례에 걸쳐 신도들조차 외면하고 있는 신도등록 사업과 교육원의 강원교육의 발전방안과 관련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대안을 모색했다.


신도등록사업의 출발 배경

조계종에서 신도증 발급 사업을 시작한 것의 배경에는 ‘재적사찰 갖기 운동’이 있다. 전국구(?)로 활동하는 불교신도들에게 소속감을 갖게 하자는 의도에서 재적사찰을 갖고 조계종 신도증을 만들자는 것이 시작이었다.

초창기에는 발급을 원하는 모든 신도에게 신도증을 만들어줬다. 1999년 신도교육을 강조한 조계종 신도법 개정 이후, 신도증 발급 자격을 ‘기본교육 수료 후 수계받은 신도’로 한층 강화시켰다. 교육을 통해 조계종에 걸맞게 정비된 신도이기에 조계종도로서의 자긍심을 가지라는 종단 측의 의도가 드러난 부분이다.

1000만 불자라고 말해왔던 불교인구 가운데 조계종 신도등록을 한 신도 신규 누계는 2004년 10월 기준으로 31만4648명. 매해 3만명 정도가 꾸준히 신규 등록을 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신도(재)교육에 매진하면 등록비율은 충분히 개선될 여지가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막상 신도등록에서 맞부딪치는 문제는 총 신도등록자의 13% 정도만이 다시 교무금(1만원)을 납부하고 신도증을 갱신했을 뿐이라는 미약한 현실이다. 개종을 하거나 사망 등으로 말소된 신도수를 제하면 2004년 10월 기준 등록신도는 30만7426명에 불과하다.


관람료 패스카드로 전락한 신도증

교무금 재납부율이 13%로 낮을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원인은 어디에 있나.
신도증 발급을 시작했을 때 국립공원 무료입장이라는 ‘잿밥’이 ‘조계종도로서의 자긍심과 의무’라는 측면보다 더 크게 부각됐다. ‘잿밥’의 부작용은 신도증을 국립공원 무료입장패스로 전락하게 만드는 중요한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그나마 백담사, 계룡산 일대 등 일부 국립공원에 무료입장이 불가능한 현재는 이 완전치 못한 잿밥이 끊임없는 민원과 등록 및 갱신 포기, 신도증 말소 등으로 이어지는 중요변수로 떠올랐다.

포교원 측은 신도증이 주는 혜택이 약해서 일선 사찰에서 신도들을 대상으로 재납부를 독려할 근거가 미미하다고 진단했다. 1월 7일 해인사에서 열린 본ㆍ말사 주지회의에서도 계룡산 및 오대산 등의 일부 사찰에서 그 사찰 신도증이 아닌 전국신도증으로는 무료입장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신도증의 실효성을 지적했다.

혜택과 신도들의 인식 미비 이외에도 일선 사찰의 신도등록 소임자들이 수시로 바뀌는 과정에서 누락되거나, 이사율이 20~30%로 높아 연락이 끊기는 경우, 신도등록 프로그램이 어려워 기피하거나, 신도등록 관련 업무를 귀찮게 생각하는 소임자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유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신도증이 ‘조계종도의 자긍심’ 되려면

신도증이 있는 신도와 없는 신도의 위치와 혜택이 확연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신도증이 없어서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을 정도로 명확한 기능을 부여하지 않는 한 현행 신도증 발행 행태로는 신도증 등록사업은 지지부진할 수밖에 없다.

포교원에서 관심을 기울이는 부분은 신도교육과 신도증 혜택 증대이다. 기본교육 후에도 신도재교육을 일정 기간별로 실시해 신도들에게 조계종도로서의 자긍심을 심어주겠다는 구상이다.

신도증의 혜택은 어떻게 늘릴 것인가. 현재 국립공원 내 사찰 무료입장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국립공원 내 사찰 무료입장은 과감히 포기하고 다른 혜택을 모색해야 한다. 국립공원 무료입장 혜택에 대한 포교원의 입장은 ‘관철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끊임없이 조계종 재무부를 통해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협의를 진행하고, 관계자들과의 접촉에도 나서고 있다.

이와함께 신도증에 보다 많은 혜택을 부여하기 위해 포교원에서는 사찰 신도증과의 결합, 신용카드 기능 추가, 불교병원ㆍ불교교육기관ㆍ불구점 및 서점 등 할인혜택 부여, 종단 차원의 문화행사 할인 이벤트, 인터넷 배너 광고, 신도증 등록을 일선 사찰로 이관하고 중앙에서는 교무금과 명단 관리만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대안 마련을 위해 부산하다. 홍보 역시 1500개 사찰에 매년 신도등록 관련 리플렛과 포스터를 발송하는 지금의 소극적인 홍보형태에서 이벤트 등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형태로 홍보 방법을 바꾸는 것도 고려 중이다.
강지연 기자 | jygang@buddhapia.com
2005-01-15 오후 2:18:00
 
한마디
조계종만 신도증을 하지말고 전국 사찰 마다 신도증을 발급하고 또 해택도 주고 하면 신도님들이 왜면은 않하고 더욱더 심심히 더할것니다.
(2005-01-19 오전 1:59:11)
14
교부금을 내고 싶어도 재적사찰을 통해서 납부해야되므로 불편합니다. 전국 조계종 사찰 어느곳에서나 교부금을 납부하면 많은 신도들이 갱신할것입니다.
(2005-01-15 오전 11:18:29)
15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