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환경훼손 우려가 있는 계룡산 국립공원 관통도로의 건설을 추진하는 쪽으로 최종 확정했다. 천성산 고속철 공사가 최근 재개된데 이어 계룡산 관통도로 공사마저 강행되면서 환경단체들은 ‘정부가 앞장서서 국립공원을 팔아먹고 있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또 인근 지역 갑사와 동학사 등 사찰의 수행환경에도 적신호가 커지고 있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위원회(위원장 박선숙)는 12월 1일 회의를 열고 계룡산 국립공원 관통 도로 확ㆍ포장 공사를 허가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중단된 충남 계룡시 두마면~공주시 반포면간 10km 국도 1호선 확ㆍ포장 공사가 11개월 만에 재개돼, 총연장 2.45km의 터널 두개를 포함한 4km의 관통도로가 계룡산 국립공원을 뚫고 지나가게 됐다.
불교계에서는 갑사를 중심으로 관통도로 건설 재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계룡산보존시민운동 공동대표 장곡 스님(갑사 주지)은 이와 관련 “계룡산을 관통하는 도로를 뚫은 것은 지역 발전보다 난개발을 조장할 가능성이 크다. 자연환경이 무분별하게 파괴되면 계룡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 사찰들의 수행환경을 위협할 것이 명약관화하다”면서 “계룡산 지역 사찰들과 주민들은 이 문제에 대해 절대 찬성하지 않는다. 공사를 중단시키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며 원칙적인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환경단체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등으로 구성된 환경비상시국회의 관계자 10여 명은 12월 1일 국립공원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사무실에 들어가 ‘계룡산 국립공원 관통도로 백지화하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점검농성을 벌인데 이어, 국립공원위원회 민간위원으로 참석중인 윤주옥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사무국장은 표결 개시와 동시에 항의의 뜻으로 회의장에서 퇴장했다. 환경비상시국회의는 또 2일 기자회견을 갖고 “환경부와 국립공원위원회가 국민 재산인 국립공원을 개발정책에 팔아먹은 반생명, 반환경 집단임을 분명하게 선언한다”고 말했다. 강유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