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27일 열린 심포지엄에서 박광수 교수(원광대 원불교학과)는 ‘사회통합과 종교, 종교언론’주제의 기조발제를 통해 “한국종교계는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및 세계에 보편적 시대정신을 제시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종단내 언로(言路)를 열어 대사회적 문제를 위한 대화의 장을 마련, 토론을 통해 여론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조발제 후 각 종교별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홍순현 기독교신문사 편집부장이 ‘사회통합을 위한 개신교의 통전적 지도력 발휘 과제’, 이학종 법보신문사 편집부장이 ‘사회통합과 불교, 불교언론의 역할’, 김종은 원불교신문사 기자가 ‘사회통합을 위한 원불교의 역할’, 박영호 가톨릭신문사 취재부장이 ‘한국천주교회의 사회통합 노력과 가톨릭 언론의 역할’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발표에서 각 종교언론인들은 “공명정대하고 이기심에 사로잡히지 않은 대사회적 발언이야말로 종교언론이 할 수 있는 가장 독보적인 기능이므로 종교인들이 솔선수범해 사회갈등과 분열의 요소들을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고 종교언론은 그 단초를 제공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 | ![]() | |||
| ||||
![]() | ![]() |
공동의장에는 이학종 법보신문사 편집부장, 장형준 기독교연합신문사 편집국장, 김춘곤 가톨릭신문사 편집국장이, 사무국장에는 신원식 한국불교신문사 편집국장이 각각 선출됐다.
이날 종교신문언론인협은 “일부 종교지도자들이 무분별하게 정쟁에 휘말려 극론분열과 사회불안을 조장하는 모습 보이는 것에 우려를 표시한다”며 “일부 종교지도자들은 이러한 종교인의 본연의 사명을 망각한 근시안적 사고에서 벗어나 국민에게 미래지향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종교본연의 자세를 회복하라”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종교신문언론인협은 또한 “국민의 상당수가 종교를 갖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정부가 종무실을 축소시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면서 “다종교사회인 우리 사회에서 종교의 기능과 역할을 고려할 때 종무실의 축소는 재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