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7 (음)
> 문화 > 학술·문화재
김종욱 박사, 불교생태철학 학문적 정립 시도
김종욱 저, <불교와 생태학> 나와
김종욱 동국대 연구교수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다’(緣起), ‘자신과 타자는 둘이 아니다’(不二), ‘중생의 괴로움은 나의 괴로움이다’(同體大悲) 등 부처님 가르침에는 타자는 물론, 자연과 더불어 사는 지혜가 풍부하게 담겨 있어, 누구나 망설임 없이 불교를 환경위기 극복의 사상적 대안으로 언급해왔다. 그러나 그 논의가 추상적이고 막연한 것이어서 명확한 근거와 방법론을 갖춘 학적 체계 수립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와 같은 시점에 나온 <불교생태철학>은 불교생태철학을 학문적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받을 만하다. 불교 현대화를 화두로 불교사상과 서양철학을 접목하려는 시도를 계속 해온 김종욱 박사가 최근 1년 동안 발표된 불교생태철학 관련 논문들을 묶고, 보충하여 책으로 펴낸 것.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불교생태학총서 첫 번째 책이다.

이 책에서 김 교수는 대승불교의 핵심인 연기·공·자비를 각각 상호의존성·비실체성·상호존중성으로 해석하고, 이 도식을 불교생태철학의 기본 구조로 설정해 생명의 불교생태학적 정의, 자연의 도덕적 지위, 서구적 근대성에 대한 불교적 성찰을 탐색함으로써 불교생태철학의 기초를 세우고자 시도했다.

김 교수가 불교생태철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5년 전 모 지방대학에서 환경윤리 강의를 맡은 게 계기였다. 그는 당시 환경윤리 분야에서 유명세를 타던 저술을 교재로 택했는데, 그 책은 기독교적 관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던 것. 강의를 하면 할수록 그는 불교적 관점을 도입한 불교생태철학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김 교수는 “불교생태철학을 연구하면서 주안점을 둔 것은 학제성이다”며 “불교와 철학, 생태학의 실질적인 교류가 가능한 통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술에 대해 “환경문제는 실천의 영역임에도 초기단계인 지금은 이론적이고 추상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아쉬웠다”며 “<생태계 존중을 위한 불자생활수칙>과 같은 세부 행동지침도 만들 계획이다”고 밝혔다.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제 1부 ‘불교생태철학의 기초’에서는 생태계의 기본원리인 상호의존성, 순환성, 항상성을 연기성, 불생불멸성, 부증불감성으로 해석함으로써 기본적인 개념을 정초하고, 생태계의 문제와 해결 과정을 사성제로 해석했다. 또 제 2부 ‘불교생태철학의 전개’에서는 불교의 중생관에 담긴 상호의존성을 규명하는 한편, 동물해방론·생명중심주의·생태중심주의 등 서구의 다양한 환경윤리의 한계 극복에 불교사상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점검하고 있다.

1·2부가 기존 논문을 모은 것이라면, 제 3부 ‘근대성의 성찰과 불교생태철학’은 저술의 완성도를 위해 보충집필한 부분이다. 저자는 과학·시민·산업혁명으로 형성된 서양 근대 사상의 실체적 사유와 합리성의 맹점을 비판한다.

제 5부 ‘불교학자와 생태학자의 대화’는 앞의 논문들이 어렵게만 느껴지는 이들을 위한 것이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이도원 교수와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평이한 대화를 통해 불교생태철학을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다.
박익순 기자 | ufo@buddhapia.com
2004-11-23 오전 10:03: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