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년 문화재연구실로 출발, 35년 동안 국가의 문화유산 조사연구 중심기관으로 자리 잡아온 국립문화재연구소. 하지만 역할에 걸맞지 않게 소장은 3급에 불과하고 비정규직 비율이 절반을 넘는 등 열악함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도 침묵을 지키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최근 위상 격상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이하 연구소)는 11월 10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3급 기관인 국립문화재연구소를 1급 기관인 ‘국립문화유산원’으로 격상 △국립문화재종합병원 신설 △조직 확대 개편 등을 골자로 하는 희망 섞인 ‘안’을 공개한 데 이어 12일에는 대전대덕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가문화유산 연구기관의 연구기능 활성화와 효율적 체계수립’이라는 주제의 국제학술좌담회에서는 그 ‘안’에 대한 공론화에 나섰다.
학술좌담회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김봉건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은 △도시개발로 인한 문화유산 훼손 가속화 △근대문화재와 관련한 문화유산 개념 확대 △비지정문화재 보존 요구 증대 △역사문화환경 보존 개념 등장 △문화유산보존 시민운동 활성화 △문화유산 조사·연구법인 증가 등을 주된 환경변화로 꼽았다. 이어 김 소장은 그에 따라 연구소는 △연구기능 강화 △문화권별 조사연구기능 활성화 △정책연구기능 신설 △연구소를 문화유산 보고(寶庫)화 △국제협력 강화 등의 방향으로 변화해야 함을 주장했다.
연구기능 강화와 관련, 김규호 공주대 교수는 “국내외 기관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중심으로 문화재 조사, 연구 및 보존 프로그램을 운용해야한다”며 “동아시아 문화재 공동연구 및 외국 소장 한국문화재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김용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장은 “현행 보존처리실을 확대 개편해 문화재 보존·수리·복원 전문기관으로 육성시켜야한다”며 “국립문화재 종합병원 설립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폭증하는 발굴조사 관련해서는 “발굴 기술 연구 및 보급·교육 기능을 갖춘 매장문화재센터를 설립함으로써 발굴기관을 통합하고 지도감독하며 교육 연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